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민병석필 서간

추천0 조회수 35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민병석필 서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설> 서간은 일반 글과는 달리 말 대신 쓰는 글로 수신인이 있고 수신인과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예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서간문이라는 형식이 생겨났다. 발신인(發信人)‚ 수신인(受信人)‚ 용건(用件)의 구성요소를 가지며‚ 이두로는 고목(告目)‚ 기별이라고 하고‚ 조선시대 이전부터는 우무‚ 유무‚ 글월이라 하였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 편지라는 말이 쓰였다. 순한문이나 이두문을 섞어 쓰는 한문서간과 순한글이나 한자를 섞어서 쓰는 언간(諺簡)이 있으며‚ 한글편지는 내간(內簡)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한문서간에는 수필과 평론의 구실을 하는 문학작품인 것도 있어 한묵(翰墨)이라는 명칭도 생겼다. 내용에 따라 문안(問安)‚ 평신(平信)‚ 하장(賀狀)‚ 위장(慰狀) 등으로‚ 용도에 따라 실용서간과 문예서간으로 나뉜다. 현대의 편지글에는 한문서간과 일본서간이 스며 있다. <작가> 조선 말기의 문신?서도가로 자는 경소(景召)‚ 호는 시남(詩南)?의재(毅齋)‚ 본관은 여흥(驪興)이다. 1883(고종20)년 승지‚ 1884년 참의군국사무(參議軍國事務)에 등용되었다. 1894년 청일전쟁 중 대원군의 밀서를 받아 청장(?將)과 내통해 일본세력을 축출하려 하였으나 실패하고‚ 1895년 원주에 유배되었다. 대한천일은행(?韓?一銀行)?직조단포주식회사(織造緞布株式會社)?농업회사 등의 경영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서도가로서 특히 행서에 능하여 작품으로 광화문에 있는 ?고종황제보령육순어극사십년칭경기념비(高宗皇帝寶齡六旬御極四十年稱慶紀念碑)?와 평안남도 중화군에 있는 ?고구려동명왕릉비(高句麗東明?陵碑)?가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민병석이 집안 조부에게 보낸 서신이다. 정치에 바쁘신 몸은 건강하신지 묻고‚ 자신은 치질 등으로 여러 날을 고생하고 있다는 근황을 적었다. 이어 가르침은 받았지만 나가지 못한 것은 성의가 부족한 것이 아니라 어쩔 수 없는 것이며 어떻게 하든지 해야 할 것이지만 답답하다는 심경을 적고 있다. 病裏?伏拜審 政體節萬安 伏喜 而且鎭納爲? 不勝?慮 族孫 偶?痔痢 兩?頹敗十許日 寢喫全却 殆難支吾 而赴公尙矣 ?何?何 敎意敬覽 而左右間 病臥未就 誠非不足 至於勢使何哉 ?此病可 第當?圖爲料 然世間事 何以致質耶 爲之伏鬱伏鬱耳 餘病昏 不備 上謝侯 族孫 丙? 再拜 重陽 前日 <기타참조> "편지-조선시대 사대부의 일상"‚ 순천대박물관‚ 2003. <참고문헌> "편지-조선시대 사대부의 일상"‚ 순천대박물관‚ 2003. "한국인물대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8. "한국민족문화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