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이민응필 서간

추천0 조회수 49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이민응필 서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설> 서간은 일반 글과는 달리 말 대신 쓰는 글로 수신인이 있고 수신인과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예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서간문이라는 형식이 생겨났다. 발신인(發信人)‚ 수신인(受信人)‚ 용건(用件)의 구성요소를 가지며‚ 이두로는 고목(告目)‚ 기별이라고 하고‚ 조선시대 이전부터는 우무‚ 유무‚ 글월이라 하였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 편지라는 말이 쓰였다. 순한문이나 이두문을 섞어 쓰는 한문서간과 순한글이나 한자를 섞어서 쓰는 언간(諺簡)이 있으며‚ 한글편지는 내간(內簡)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한문서간에는 수필과 평론의 구실을 하는 문학작품인 것도 있어 한묵(翰墨)이라는 명칭도 생겼다. 내용에 따라 문안(問安)‚ 평신(平信)‚ 하장(賀狀)‚ 위장(慰狀) 등으로‚ 용도에 따라 실용서간과 문예서간으로 나뉜다. 현대의 편지글에는 한문서간과 일본서간이 스며 있다. <작가> 이민응(李敏應 19세기)은 1872(고종9)년 전라우도 수군절도사(全羅右道水軍節度使)에 임명‚ 이후 전라?충청도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를 지냈다. 1905년 출간에 관련된 자료들을 모아 수록한 책인 ≪선원보략(璿源譜略)≫을 수정할 때 품계를 올려주는 가자(加資)를 입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이민응의 서찰이다. 선조 목은(牧隱)선생에 관한 사실이 유시남사(兪市南史)에 미비해 있음으로 조심스럽게 조야(朝野)의 자료를 채집하고 하진산(河晋山)이 지은 신도비(神道碑)의 글을 들여와 몇 줄의 대요(?要)를 붙이니 목은선생의 사실이 다소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다만 진산비(晋山碑) 일편은 족히 의심이 없다 할 것인데 지호(芝湖)씨는 어찌해서 실록에 현혹되어 어지럽게 다른 설을 만들어내느냐며 실록이라고 모조리 다 믿을 것은 아니라고 강조하였다. 尊先牧隱先生事 兪市南史有所未備 故謹採朝野輯要及河晋山所撰神道碑書入 而附以按說數十行 ?要牧隱先生事 不?太少援引確證 只晋山碑一篇 足以釋然無疑 不知芝湖氏何爲 而爲實錄所眩紛?生岐說乎 生於甲午以後 三年嘗執史筆 而時事黑白苦難詳知 以此知實錄不可盡信 稠人廣坐 有語虎害者 一人色動毛顫問之 則嘗遇虎者也 生於今亦一遇虎者也 故竊敢有以私議?此耳 按說?未錄上爲? 平山李上舍 是數年來 結識於李敏應席上者也 敢以俗?以聞 <기타참조> "편지-조선시대 사대부의 일상"‚ 순천대박물관‚ 2003. <참고문헌> "편지-조선시대 사대부의 일상"‚ 순천대박물관‚ 2003. "한국민족문화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