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김종한필 서간

추천0 조회수 119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김종한필 서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설> 서간은 일반 글과는 달리 말 대신 쓰는 글로 수신인이 있고 수신인과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예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서간문이라는 형식이 생겨났다. 발신인(發信人)‚ 수신인(受信人)‚ 용건(用件)의 구성요소를 가지며‚ 이두로는 고목(告目)‚ 기별이라고 하고‚ 조선시대 이전부터는 우무‚ 유무‚ 글월이라 하였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 편지라는 말이 쓰였다. 순한문이나 이두문을 섞어 쓰는 한문서간과 순한글이나 한자를 섞어서 쓰는 언간(諺簡)이 있으며‚ 한글편지는 내간(內簡)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한문서간에는 수필과 평론의 구실을 하는 문학작품인 것도 있어 한묵(翰墨)이라는 명칭도 생겼다. 내용에 따라 문안(問安)‚ 평신(平信)‚ 하장(賀狀)‚ 위장(慰狀) 등으로‚ 용도에 따라 실용서간과 문예서간으로 나뉜다. 현대의 편지글에는 한문서간과 일본서간이 스며 있다. <작가> 조선 말기의 친일인물로 자는 조경(祖卿)‚ 호는 유하(游霞)‚ 본관은 안동(安東)이다.1901년 궁내부 특진관(宮內府特進官)‚ 1909년 판돈령사사(判敦領司事)‚ 이어 비서감경(秘書監卿)?규장각 지후관(?章閣祗侯官)을 역임했다. 1910년 정우회(政友會)의 총재가 되고‚ 1910년 경술국치 후 일본 정부에 의해 남작(男爵)이 되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김종한이 집안 어른에게 보낸 편지이다. 맑은 가을날 몸은 건강한지 묻고‚ 자신은 못난 처지 그대로이며 명령에 따라 25~6일간 서울에 왔는데 결렴(結斂)문제에 대해 비록 처분이 있다 하더라도 막중한 공화(公貨)를 사적으로 거래할 수 없다 하였다. 또 안악(安岳) 김효찬(金孝燦)을 특별히 처분한다는데 그렇게 시행하지 않기를 바라며 반대하고 간 사람은 밤낮으로 한스러워할 터인데 그 불쌍한 형상을 저버릴 수 없다고 적고 있다. 伏詢秋? 台旬體節萬安 伏祝區區 戚下生 依劣已耳 第勅行卄五六日間 抵京而結斂條上送雖有處分 莫重公貨 不可私相去來 故累誦揆地 將發關兩西 使之輸納戶曹受尺而去以爲憑後計 下諒若何 安岳金吏孝燦 特爲參商處分 上使勿施 伏望 亡反之 ?人日?送懇 其矜?之狀 不可孤負 且前等事?帖 渙望渙望 下燭 必施上? 餘不備 上候 庚寅 九月 望日 戚下生 金宗漢 再拜 一邊 間又搖動 台下執座 事竟無成 未知平日有何不平耶 甚歎 <기타참조> "편지-조선시대 사대부의 일상"‚ 순천대박물관‚ 2003. <참고문헌> "편지-조선시대 사대부의 일상"‚ 순천대박물관‚ 2003. "한국인물대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8. "한국민족문화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