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기정진필 서간

추천0 조회수 71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기정진필 서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설> 서간은 일반 글과는 달리 말 대신 쓰는 글로 수신인이 있고 수신인과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예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서간문이라는 형식이 생겨났다. 발신인(發信人)‚ 수신인(受信人)‚ 용건(用件)의 구성요소를 가지며‚ 이두로는 고목(告目)‚ 기별이라고 하고‚ 조선시대 이전부터는 우무‚ 유무‚ 글월이라 하였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 편지라는 말이 쓰였다. 순한문이나 이두문을 섞어 쓰는 한문서간과 순한글이나 한자를 섞어서 쓰는 언간(諺簡)이 있으며‚ 한글편지는 내간(內簡)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한문서간에는 수필과 평론의 구실을 하는 문학작품인 것도 있어 한묵(翰墨)이라는 명칭도 생겼다. 내용에 따라 문안(問安)‚ 평신(平信)‚ 하장(賀狀)‚ 위장(慰狀) 등으로‚ 용도에 따라 실용서간과 문예서간으로 나뉜다. 현대의 편지글에는 한문서간과 일본서간이 스며 있다. <작가> 기정진(套正鎭 1798~1879)은 조선후기 성리학자로 자는 대중(?中)‚ 호는 노사(蘆沙)‚ 본관은 행주(幸州)로 전라북도 순창 출신이다. 1832년 강릉참봉(康陵參?)‚ 1835년 현릉참봉(顯陵參?)‚ 1837년 사옹원주부에 임명되었으나 사의를 표하였고‚ 그 뒤에도 여러 관직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취임하지 않았다. 1877년에 장성 하리 월송(月松: 지금의 진원면 高山里)으로 이사해 다음해 그곳에 담대헌(澹對軒)이라는 정사를 짓고 많은 문인과 함께 거처하다가 생을 마쳤다. 그의 학문은 스승으로부터 직접 전수 받거나 어느 학파에 연원을 둔 것이 아니라 송대의 학자 주돈이(周敦蓬)?장재(張載)?정호(程顥)?정이(程蓬)?주희(朱熹) 등의 성리학에 대한 독자적인 궁리와 사색에 의해 대성의 경지에 이르렀다. 그리하여 이황(李滉)?이이(李?) 이후 근 300년간 계속된 주리(主理)?주기(主氣)의 논쟁을 극복하고 이일분수(理一分殊)의 이론에 의한 독창적인 이(理)의 철학체계를 수립하였다. 1874년에는 그의 철학에서 핵심이 되는 ?납량사의(納凉私議)?(초고는 1843년에 작성)를 저술하였는데 이 서간은 그 해 12월 8일의 것이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이 서간은 1874년 12월 8일 윤석사에게 보낸 것이다. 기력의 쇠퇴함이 심한데 남국 장요미태(長腰米?)를 찾아라 하나 너무 지쳐 있기도 하지만 상리(常理)에 어찌 그런 일이 있겠는가. 늘 스스로 꿈을 깨지 못하고 있는가 의심한다. 그렇다면 지금 친구의 글이 꿈속에서 꿈이 아니라는 것을 어찌 알겠는가. 한편으로 기쁘고 한편으로 놀라워 아득히 답할 방법을 모르겠다 하였다. 자신은 5‚ 6년 동안 일이 도무지 얽혀 모두 얘기하고 싶지 않"편지-조선시대 사대부의 일상"‚ 순천대박물관‚ 2003. "한국인물대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8. "한국민족문화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은 것은 오늘날 내 눈앞에 나타난 것이 없기 때문이며‚ 금강노인(金溝老人)이 죽었음을 이미 알고 있으며 그 후손들은 어디서 살고 있는지 만일 뒤의 인편이 있을 때 보여주기를 바란다고 적고 있다. 衰甚朽甚 索南國長腰米? 支離常理 豈有是哉 每自疑未覺一? 然則今日故人書 又安知非?中?耶 且喜且驚 茫然不知所以爲答也 字?宛見舊日面目 先尊人傳心在此 撫念疇昔 爲之愴? 竿頭?闊 趙生略言之 落地初已入無邊苦涇 將誰尤哉 順受而已 記末 五六年間 事太乖常 都不欲言 今日眼下無顯故耳 金溝老人 爲松下塵 業已知之 其子若孫 見在何處 若有後便 示及爲望 旣有絆身處 春間賁然 何可望也 千萬努力自愛 不宣 甲戌臘月旬八 正鎭 頓 尹碩士?謝 <기타참조> "편지-조선시대 사대부의 일상"‚ 순천대박물관‚ 2003. <참고문헌>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