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이병계필 서간

추천0 조회수 86 다운로드 수 3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이병계필 서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설> 서간은 일반 글과는 달리 말 대신 쓰는 글로 수신인이 있고 수신인과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예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서간문이라는 형식이 생겨났다. 발신인(發信人)‚ 수신인(受信人)‚ 용건(用件)의 구성요소를 가지며‚ 이두로는 고목(告目)‚ 기별이라고 하고‚ 조선시대 이전부터는 우무‚ 유무‚ 글월이라 하였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 편지라는 말이 쓰였다. 순한문이나 이두문을 섞어 쓰는 한문서간과 순한글이나 한자를 섞어서 쓰는 언간(諺簡)이 있으며‚ 한글편지는 내간(內簡)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한문서간에는 수필과 평론의 구실을 하는 문학작품인 것도 있어 한묵(翰墨)이라는 명칭도 생겼다. 내용에 따라 문안(問安)‚ 평신(平信)‚ 하장(賀狀)‚ 위장(慰狀) 등으로‚ 용도에 따라 실용서간과 문예서간으로 나뉜다. 현대의 편지글에는 한문서간과 일본서간이 스며 있다. <작가> 이병계(李秉?)의 호는 우석(愚石)으로 전남 보성(寶城) 출신이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이 편지는 이병계가 왕수환에게 보낸 것이다. 여름에 온 편지를 가을에 답장하니‚ 비록 만환(漫?)에 속하오나 형편이 그렇게 되었습니다. 세 철(三節)을 여행하고 8월 17일에 돌아오니 혜서(?書)가 책상 위 먼지 속에 놓여 있었습니다. 바삐 열고 받들어 읽으니‚ 형이 6월 15일에 보낸 것이었습니다. 적조할 때 날아든 편지는 하룻밤 촛불을 끄고 이야기한 것보다 더 나으니 감사하기 이를 데 없습니다. 귀 종친 왕학사(?學士) 성순(?減)은 참으로 세상을 걱정하는 사람입니다. 한 편에 모든 것을 갖추었으며 도덕이 퇴폐하고 해이된 때에 어찌 풍습(風習)을 교화하는 작은 도움이라고만 하겠습니까. 김창강 문집에서 대강 그 재주와 언행을 알았는데 지금에 와서 더욱 그러함을 믿게 되었습니다. 천리 밖에 떨어져 있어서 한 번도 뵙지 못하였으나‚ 마음으로 비추어 조석으로 만난 것 같으니 찬단하고 축하합니다. 책자는 말씀대로 진즉 우송하려 하였으나 30리나 되는 우체국에 믿고 부칠 사람이 없어 이제 겨우 보내오니 받으시고 나무라지 마십시오. 국화 피는 가을에 형제분 기체 만왕(萬旺)하시고 아드님도 학과에 부지런하여 성취함이 클 것으로‚ 축하하며 또 빕니다. 저는 근심과 병이 엇갈려 닥쳐오고 또 자식이 아직 결혼을 못하여 걱정이오니‚ 혹 좋은 자리가 있으면 참된 우정으로 형이 지시해 줄 방도는 없겠습니까. 염려해 주시기 바랍니다. 나머지는 이만 줄이며 답장 올립니다. 병진년(1916) 9월 27일 제 이병계 올림 <기타참조>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하‚ 미래문화사‚ 1985. <참고문헌>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하‚ 미래문화사‚ 198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전싱문화연구원‚ 1992.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