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허숙필 서간

추천0 조회수 72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허숙필 서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설> 서간은 일반 글과는 달리 말 대신 쓰는 글로 수신인이 있고 수신인과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예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서간문이라는 형식이 생겨났다. 발신인(發信人)‚ 수신인(受信人)‚ 용건(用件)의 구성요소를 가지며‚ 이두로는 고목(告目)‚ 기별이라고 하고‚ 조선시대 이전부터는 우무‚ 유무‚ 글월이라 하였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 편지라는 말이 쓰였다. 순한문이나 이두문을 섞어 쓰는 한문서간과 순한글이나 한자를 섞어서 쓰는 언간(諺簡)이 있으며‚ 한글편지는 내간(內簡)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한문서간에는 수필과 평론의 구실을 하는 문학작품인 것도 있어 한묵(翰墨)이라는 명칭도 생겼다. 내용에 따라 문안(問安)‚ 평신(平信)‚ 하장(賀狀)‚ 위장(慰狀) 등으로‚ 용도에 따라 실용서간과 문예서간으로 나뉜다. 현대의 편지글에는 한문서간과 일본서간이 스며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이 서간은 허숙이 황원에게 보낸 것이다. 숙은 아뢰옵니다. 저는 사우(士友)들로부터 빛나는 명성을 일찍이 들었으나 땅이 동남(東南)으로 나뉘어 뵐 수가 없으니‚ 다만 간절하게 고개를 들고 흠모해 왔을 뿐입니다. 요사이 진주(晋州)에 머물러 있는 장지연(張志?)씨의 호의로 선백씨(先伯氏 ) 매천 선생 문집 3책을 싸 보내 주신 것을 받아 바삐 손 씻고 읽어 보매 글자 속 글 줄 사이에 그 진상(眞相)이 나타난 듯하며‚ 문장이 고상하고 의리(義理)의 정당한 것은 진실로 말세에 드문 분이요‚ 늠연(凜然)히 존경심을 일으키게 하며‚ 더욱더 전일에 들었던 것이 어긋나지 아니한 것을 알겠습니다. 이에 다시 생각해 보니‚ 귀하는 일찍부터 비바람 부는 밤에 책상을 나란히 하고 예의(禮義)와 시서(詩書)에 날마다 매진하여 훌륭한 시문이 비단과 수놓은 것 같고‚ 봉황의 상서로운 날개처럼 빛날 것이나‚ 시대가 고금(古今)이 달라 그 문채(文彩)가 쇠퇴하여 비록 시운(時運) 소관이라 거듭 슬프고 민망합니다. 요즘 한낮 더위에 체후와 문체가 더욱 복되시고‚ 술을 떨어버리고 책상에서 이치(理致)를 강구하며 이어 오는 것을 열어 주는 좋은 실마리를 이루지 아니하였습니까. 자세한 것을 삼가 듣고자 합니다. 숙은 부들같은 체질이 이미 쇠하고 재주가 본래 둔하여 옛날 부모에게 배운 것도 잊어버리고 남은 것이 없습니다. 집이 본래 일선면(一善面) 임은리(林隱里)인데 경상 좌도 진보현(眞寶縣)에 이사와 산 지가 이미 수십 년이 되어 있으니‚ 다만 집을 쳐다보고 깊이 탄식할 따름입니다. 선인(先人) 유집(遺集)은 우선 그 긴요한 것만 추려 연전에 12권을 간출(刊出)하였으나 재력이 없어 널리 간출할 때에 한 질을 드리려고 합니다. 김창강 문집이 귀하에게 있다고 하는데‚ 만일 한 질을 주시면 전부터 정성껏 보고 싶었던 뜻을 펼 수 있을 것이므로 양해해 주심이 어떠합니까. 한 세상에 태어나서 한 번도 합석하지 못한 슬픔을 어찌 말로 다할 수 있겠습니까. 오직 문체가 더욱 보중하시기를 빌며 이만 줄이오니 살펴주시기 바랍니다. 계축년(1913) 6월 8일 제 허숙 배수 <기타참조>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상‚ 미래문화사‚ 1985. <참고문헌>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상‚ 미래문화사‚ 198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2.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