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한양석필 서간

추천0 조회수 33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한양석필 서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설> 서간은 일반 글과는 달리 말 대신 쓰는 글로 수신인이 있고 수신인과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예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서간문이라는 형식이 생겨났다. 발신인(發信人)‚ 수신인(受信人)‚ 용건(用件)의 구성요소를 가지며‚ 이두로는 고목(告目)‚ 기별이라고 하고‚ 조선시대 이전부터는 우무‚ 유무‚ 글월이라 하였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 편지라는 말이 쓰였다. 순한문이나 이두문을 섞어 쓰는 한문서간과 순한글이나 한자를 섞어서 쓰는 언간(諺簡)이 있으며‚ 한글편지는 내간(內簡)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한문서간에는 수필과 평론의 구실을 하는 문학작품인 것도 있어 한묵(翰墨)이라는 명칭도 생겼다. 내용에 따라 문안(問安)‚ 평신(平信)‚ 하장(賀狀)‚ 위장(慰狀) 등으로‚ 용도에 따라 실용서간과 문예서간으로 나뉜다. 현대의 편지글에는 한문서간과 일본서간이 스며 있다. <작가> 한양석(韓良錫)의 자는 공선(公善)‚ 호는 백강(白江)‚ 본관은 청주(?州)이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이 서간은 한양석이 왕수환‚ 권봉수‚ 박창현에게 보낸 답장이다. 뜻밖에 빛나는 편지를 받아 읽으니 감송함을 이기지 못하겟습니다. 여러분의 다복하심을 들으니 우러러 사모함이 목이 마른 듯합니다. 저는 어른 모시고 여전하므로 다행입니다. 선생 문집(先生文集)은 일월(日月)과 같이 빛날 것입니다. 아닌게 아니라 비루한 사람에게는 아껴야 하기 때문에 저는 다른 사람에게서 진즉 빌려 보았고‚ 이것으로 족하다고 여겼습니다. 어찌 감히 한 질을 받기 바라겠습니까. 의리상 감히 받지 못하겠기에 곧 돌려보내고자 하였으나‚ 다시 생각해 보니 불공(不?)한 것 같아서 아직 저의 책상에 놓아 두었습니다. 또한 이런 문집은 세상에 널리 보급되어야 할 것이고‚ 이는 여러 어르신들과 동지(同志) 외에 저와 같은 사람도 원하는 바일 것으로‚ 다행히 얻어 보고 싶어 한 사람이 있으면 편지해 주심이 어떻겠습니까. 마땅히 보내 드리겠습니다. 나머지는 마침 번잡하여 이만 줄입니다. 계축년(1913) 8월 4일 생 한양석 배상 <기타참조>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상‚ 미래문화사‚ 1985. <참고문헌>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상‚ 미래문화사‚ 198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2.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