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최치훈필 서간

추천0 조회수 30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최치훈필 서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설> 서간은 일반 글과는 달리 말 대신 쓰는 글로 수신인이 있고 수신인과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예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서간문이라는 형식이 생겨났다. 발신인(發信人)‚ 수신인(受信人)‚ 용건(用件)의 구성요소를 가지며‚ 이두로는 고목(告目)‚ 기별이라고 하고‚ 조선시대 이전부터는 우무‚ 유무‚ 글월이라 하였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 편지라는 말이 쓰였다. 순한문이나 이두문을 섞어 쓰는 한문서간과 순한글이나 한자를 섞어서 쓰는 언간(諺簡)이 있으며‚ 한글편지는 내간(內簡)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한문서간에는 수필과 평론의 구실을 하는 문학작품인 것도 있어 한묵(翰墨)이라는 명칭도 생겼다. 내용에 따라 문안(問安)‚ 평신(平信)‚ 하장(賀狀)‚ 위장(慰狀) 등으로‚ 용도에 따라 실용서간과 문예서간으로 나뉜다. 현대의 편지글에는 한문서간과 일본서간이 스며 있다. <작가> 최치훈(崔致勳)의 자는 자화(子和)로 중국 안동(安東)에서 상점을 하면서 회남(?南) 김택영으로부터 매천속집을 받아서 구례(求禮) 왕수환과 황게방에게 보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이 서간은 최치훈이 황원에게 보낸 것이다. 보내 주신 편지를 받고서 기거(起居)가 새해를 맞이하여 강복(康福)하심을 살피니 위로가 됩니다. 지난 12월에 영질(令?)의 편지를 받았으나 지금까지 답장을 미루어 죄송스럽습니다. 저는 집에 돌아온 지가 수십 일이 되었는데 점포 일이 많이 쌓여 실로 한가한 틈이 없기 때문에 이렇게 지연되었으니 다행히 용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매천집 85책을 3포로 만들어 방금 신의주(新義州) 우편국에서 부쳤으니 사수(査收)하심이 어떻겠습니까. 이곳 중국 안동(安東)에서도 우편으로 부칠 수 있으나 우편 요금이 많기 때문에 사람에게 위탁하여 신의주에서 부쳤습니다. 지난해 12월에 창강의 편지를 받아 그의 가족이 편안함을 알았으며‚ 답장을 전일에 부치면서 어르신의 근절(近節)과 문집(文集) 보내는 일을 말씀드렸습니다. 문집과 속집은 다시 남은 것이 없으며‚ 제가 보려고 문집 ? 속집 각 한 책을 남겨 두고 있으니 양해하십시오. 나머지는 쪽지에 기재하였습니다. 이만 줄입니다. 갑인년(1914) 1월 4일 생 최치훈 재배 <기타참조>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상‚ 미래문화사‚ 1985. <참고문헌>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상‚ 미래문화사‚ 198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2.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