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오백수필 서간

추천0 조회수 93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오백수필 서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설> 서간은 일반 글과는 달리 말 대신 쓰는 글로 수신인이 있고 수신인과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예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서간문이라는 형식이 생겨났다. 발신인(發信人)‚ 수신인(受信人)‚ 용건(用件)의 구성요소를 가지며‚ 이두로는 고목(告目)‚ 기별이라고 하고‚ 조선시대 이전부터는 우무‚ 유무‚ 글월이라 하였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 편지라는 말이 쓰였다. 순한문이나 이두문을 섞어 쓰는 한문서간과 순한글이나 한자를 섞어서 쓰는 언간(諺簡)이 있으며‚ 한글편지는 내간(內簡)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한문서간에는 수필과 평론의 구실을 하는 문학작품인 것도 있어 한묵(翰墨)이라는 명칭도 생겼다. 내용에 따라 문안(問安)‚ 평신(平信)‚ 하장(賀狀)‚ 위장(慰狀) 등으로‚ 용도에 따라 실용서간과 문예서간으로 나뉜다. 현대의 편지글에는 한문서간과 일본서간이 스며 있다. <작가> 오백수(吳白秀)의 호는 창명(滄鳴)으로 충북 청주(?州) 출신이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이 서간은 오백수가 황원에게 보낸 것이다. 전일 벼슬길에 있을 때 다행히 알게 되는 소원을 이루었는데 총총히 이별을 하였으니‚ 복없는 사람은 마(摩)가 가리는 것이라 스스로 탄식하였습니다. 그 후 편지를 하려 했으나 아직 못한 것은 고청집을 지금껏 빌려 보지 못했기 때문이였습니다. 그런데 또 먼저 혜서를 주시니 대인 군자가 사람을 포용하고 사물을 접하는 뜻이 편지가 늦었다고 구구하게 하지 않은 것을 알겠습니다. 문득 세모에 눈이 하늘에 가득하온데 문체(文體) 계속 편안하시고 조카 형제분도 편안하며 두 아드님도 잘 자라고 공부 잘합니까? 남쪽 구름을 바라보며 오주(吳州)에 달 보는 듯 생각이 간절합니다. 저는 성솔(省?)을 받들고 거느리매 모두 탈이 없으며 차고 맑은 강정(江亭)에서 별일 없이 세월을 보내니‚ 소동파의 말한 바 잠 잘 자고 밥 잘 먹는다고 하는 것에 가깝지 않겠습니까? 눌곡(訥谷)으로 가는 조장과 만사는 지난달 15일에 호산옹(壺山翁)의 마음 속에 이것이 황계방(黃季方)이 창강에게 말한 것이 아닌가 여기고 있는 듯 하기에 내가 자세히 말씀드렸습니다. 호산옹의 말 가운데 귀하와 창강(滄江)의 조장을 모두 받아 두었으니 나더러 귀하에게 자세히 말하라고 하였습니다. 눌곡(訥谷)에 있는 매천집은 일간에 가져간 것으로 압니다. 창강의 요즘 소식은 자상하게 들었습니다. 삼국사(三國史)는 이미 완질(完帙)되어 바다를 건너왔습니까? 나도 한 질을 사고자 하는데 본래 돈이 없는 사람이 가격을 먼저 물으니 더욱 우습습니다. 그러나 영남과 호남에만 분포한다면 또 아무 맛이 없을 것입니다오랑캐가 창궐(??)하여 서적(書籍)이 쓸어 버린 듯 하였기 때문일 것입니다. 다만 그 사실을 적고 송이암의 시 한 수를 같이 부쳐 드립니다. 선생이 일찍이 지리산 흥하동에 들어가셨는데 즉 연곡사 뒷골짜기이며 산이 가장 깊은 곳으로 무릇 4년 간을 돌배를 삶아 주린 배를 채우고 강학(講學)을 폐하지 않으셨으니‚ 이토정(李土亭)과 조중봉(趙重峰) 제현(諸賢)도 선생이 계신 곳을 찾아서 또 수월(數月)을 강학하고 돌아왔다고 합니다. 두 선생 시집(詩集)에서 자상하게 돌아왔다고 합니다. 두 선생 시집(詩集)에서 자상하게 살피시기 바랍니다. 다시 바라건대‚ 자주 바람에 실어 멀리 금옥(金?)같은 말씀 보내 주십시오. 병진년(1916) 음력 섣달 15일 창명 생 오백수 재배 <기타참조>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상‚ 미래문화사‚ 1985. <참고문헌>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상‚ 미래문화사‚ 198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2. . 만약 창강에게 가는 되었는데 한 번도 뵙지 못하여 유감으로 생각한다고 말하여 주십시오. 비문(碑文)은 앞으로 도모하겠는데 귀하의 주선에 크게 의존하려 합니다. 양찰해 주십시오. 저의 화산재(華山齋) 원운(原韻)을 부탁한 것은 혹 잊으셨습니까? 부쳐 주시는 노고를 아끼지 않으면 이 작은 집이 만길이나 빛날 것 같으니 사양하지 마십시오. 최사문 익한(崔斯文益翰)은 요즘 산사(山寺)에서 공부하면서 종종 서로 상종하고 있습니까? 고청집(孤靑集)은 전일에 잠깐 빌려 보매 원집(原集)에는 겨우 시 14수가 있었는데 남악(南岳)의 시는 없으니‚ 이는 이 어른이 본래 경륜(經綸)의 재(才)로써 시문(詩文)에 구구하게 힘쓰지 않고 저술도 좋아하지 않았으며‚ 돌아가신 다음해에 일본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