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신창모필 서간

추천0 조회수 156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신창모필 서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설> 서간은 일반 글과는 달리 말 대신 쓰는 글로 수신인이 있고 수신인과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예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서간문이라는 형식이 생겨났다. 발신인(發信人)‚ 수신인(受信人)‚ 용건(用件)의 구성요소를 가지며‚ 이두로는 고목(告目)‚ 기별이라고 하고‚ 조선시대 이전부터는 우무‚ 유무‚ 글월이라 하였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 편지라는 말이 쓰였다. 순한문이나 이두문을 섞어 쓰는 한문서간과 순한글이나 한자를 섞어서 쓰는 언간(諺簡)이 있으며‚ 한글편지는 내간(內簡)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한문서간에는 수필과 평론의 구실을 하는 문학작품인 것도 있어 한묵(翰墨)이라는 명칭도 생겼다. 내용에 따라 문안(問安)‚ 평신(平信)‚ 하장(賀狀)‚ 위장(慰狀) 등으로‚ 용도에 따라 실용서간과 문예서간으로 나뉜다. 현대의 편지글에는 한문서간과 일본서간이 스며 있다. <작가> 신창모(申昶模)는 전남 고흥(高興) 출신이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이 서간은 신창모가 왕수환에게 보낸 답장이다. 오래 전에 구례에 황매천(黃梅泉)?왕소천(?小川)?이해학(李涇鶴) 등 제공(諸公)이 번갈아 시단(詩壇)의 맹주(盟主)가 되어 아름다운 시 소리를 크게 떨친다는 것을 듣고 마음으로 존모(尊慕)하면서 논설(論說)을 듣고자 하였으나 시골에서 늙고 병들어 시렁에 걸린 표주박처럼 움직이지 못하였습니다. 나라 앓은 변을 따라 매천공이 순의(殉義)하고‚ 전해지고 있는 그 절명시(絶命詩) 두세 수는 격절탄상(擊節嘆賞)하고 어읍(於?)하며 강개(慷慨)함을 이길 수 없습니다. 이제 비로소 매천집 높은 이름 아래 헛된 선비가 없고‚ 예천(醴泉)과 영지(靈芝)가 스스로 그 근원(根源)이 있음을 알았습니다. 이 얼마만한 흠모와 슬픔이겠습니까? 그러나‚ 또 이 늙고 어리석은 사람에게 어찌 이렇게 성대한 선물을 받게 해주시는지 모르겠습니다. 마땅히 진중(?重)히 소장하고 보배처럼 애완하면서 한편으로 귀댁 선대(先代)의 아름다움을 영구히 선양(宣揚)하고‚ 한편으로는 쇠퇴해진 풍속(風俗)을 끝없이 진작(振作)시키고자 합니다. 다만 이와 같이 대략 말씀드리고 이만 줄입니다. 삼가 늦은 가을에 문체 편안하심을 빕니다. 을묘년(1915) 9월 27일 봉헌하생 신창모 배복 <기타참조>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상‚ 미래문화사‚ 1985. <참고문헌>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상‚ 미래문화사‚ 198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2.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