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송기면필 서간

추천0 조회수 109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송기면필 서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설> 서간은 일반 글과는 달리 말 대신 쓰는 글로 수신인이 있고 수신인과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예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서간문이라는 형식이 생겨났다. 발신인(發信人)‚ 수신인(受信人)‚ 용건(用件)의 구성요소를 가지며‚ 이두로는 고목(告目)‚ 기별이라고 하고‚ 조선시대 이전부터는 우무‚ 유무‚ 글월이라 하였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 편지라는 말이 쓰였다. 순한문이나 이두문을 섞어 쓰는 한문서간과 순한글이나 한자를 섞어서 쓰는 언간(諺簡)이 있으며‚ 한글편지는 내간(內簡)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한문서간에는 수필과 평론의 구실을 하는 문학작품인 것도 있어 한묵(翰墨)이라는 명칭도 생겼다. 내용에 따라 문안(問安)‚ 평신(平信)‚ 하장(賀狀)‚ 위장(慰狀) 등으로‚ 용도에 따라 실용서간과 문예서간으로 나뉜다. 현대의 편지글에는 한문서간과 일본서간이 스며 있다. <작가> 송기면(宋基冕 1882-1956)은 근대의 학자로 본은 여산(礪山)‚ 자는 군장(君章)‚ 호는 유재(裕齋)‚ 전라도 김제 출신이다. 초년에는 이정직(李定稷)의 문하에서 문장‚ 서화‚ 역산(曆算) 등을 두루 배웠고‚ 만년에는 전우(田愚)의 문하에서 성리와 의리에 관한 학풍을 받아들여 학문적 기반을 형성하였다. 그는 심성설(心?說)에서 전우의 기본명제인 ‘성존심비(?尊心卑)‚ ’성사심제(?師心弟)‘의 설을 추종하여 계승‚ 전개시켰다. 그는 격변하는 사회 속에서 유교의 생활규범을 철저하게 지켜가며 전통 유학사상의 토대 위에 근대 유학자로서의 새로운 삶의 좌표를 설정하고‚ 고향의 요교정사(蓼橋精舍)에서 후진양성에 전념하면서 “선비는 도를 위해 자신을 바치고 신하는 나라를 위해 자신을 바친다.”고 강조하였다. 항일정신이 투철하여 단발은 물론 일본식 성명강요를 거부하였다. 그는 특히 서예에 뛰어나 왕희지 ? 미불 ? 동기창의 경지에까지 이르렀을 정도였으며‚ 전우의 부탁으로 임헌회(任憲晦)의 신도비명을 비롯하여 많은 비문을 썼다. 김제 병암사(屛巖祠)에 봉안되었다. 저서로는《유재집》이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이 서간은 송기면이 왕수환에게 보낸 것이다. 지난달 28일에 보내준 혜서는 부지런하고 진지한 뜻이 글 속에 넘치고 웃는 듯 따뜻한 정을 움켜쥘 만하니 이처럼 적적하고 무료한 자로 하여금 마음이 열리고 기운이 솟아나는 듯합니다. 어찌 이와 같은 감동을 주시는 것입니까? 섣달의 추위가 솜옷을 끊을 듯 하온데 체절(體節)이 만안하심을 살피니 간절히 우러러 위안되오며 평소에 멀리 기리던바 부합(符合)됩니다. 저는 부모님을 섬기고 아이를 기르는 데 겨우 의지하고 있을 뿐입니다.알지 못하니‚ 한갖 입술과 혀만 닳게 할 뿐입니다. 저와 같이 부러워하고 축하하는 사람은 주머니가 비어 어찌하겠습니다? 약간을 거둬들인 것은 어찌 연조에 응한 것이라 하겠습니까? 통문 중에 작은 흐름이 강(江)을 이룬다고 한 것은 참으로 격언(格言)입니다. 변변치 않으나 적다 마시고 만의 하나라도 비용에 보태시면 어떻겠습니까? 명부(名簿) 중에 이규흥(李?興)은 곧 선사(先師)의 둘째 아들입니다. 스스로 말하기를‚ 의리상 묵과(?過)할 수 없기 때문에 응한다고 하니‚ 그 뜻이 퍽이나 아름다워 많고 적은 것을 어찌 비교할 것입니까? 책이 그곳에 도착하면 혹 나를 빠뜨리지는 않으시렵니까? 영숙부 시집(詩集)은 속히 전해 주시기 바랍니다. 나머지는 공손히 답장을 기다리며 갖추지 못하고 삼가 말씀 올립니다. 신해년(1911) 섣달 11일 송기면 이배 발간 기한을 2‚ 3개월 연기할 것 같으면 다시 말씀해 주심이 어떻겠습니까? 우리들 뜻있는 사람에게 널리 알려서 모아진 대로 보내 드릴 계획입니다. 이제 간기(刊記)가 박두한다 말하시니 보낼 만한 곳에 전달하지 못하였습니다. 이규흥‚ 자 영우‚ 호 유당‚ 적 신평‚ 일 원 송기면‚ 자 군장‚ 호 유재‚ 적 여산‚ 일 원 최승현‚ 자 도열‚ 적 전주‚ 일 원 송호섭‚ 자 재일‚ 적 여산‚ 일 원 김영복‚ 자 종여‚ 적 광산‚ 일 원 이근문‚ 자 문삼‚ 적 신평‚ 40 전 이근준‚ 자 공빈‚ 적 신평‚ 60 전 합 6원 <기타참조>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상‚ 미래문화사‚ 1985. <참고문헌>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상‚ 미래문화사‚ 198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2. "한국인물대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8. 매천 선생 문집 간행은 부러워하고 축하해 마지않으며‚ 귀하(貴下)가 이 일에 정성을 다하매 또한 경하(慶賀)합니다. 보조(補助)를 말씀하신 것은 무릇 우리 호남 인사들에 있어서 누구나 보고 느끼고 분발해 일어나지 않겠습니까? 이제 세상 형편이 일변하여 전일 돌아가신 스승의 문하에서 글을 배운 자가 이젠 각처에 흩어져 있고‚ 대개 이런 일을 한가로운 생각이라고 하여 돌볼 겨를이 없다고 말하며‚ 그 혹(或) 응조(應助)코자 하는 자는 서로 사는 거리가 멀어 비록 서신으로 타이르고자 해도 기간내에 미칠 수 없으며‚ 더욱 가을 사이에 혜서가 도중에서 없어진 것을 탄식합니다. 이 밖에 재력있는 자는 다만 그 재산을 아낄 줄만 알며‚ 다시 이러한 드물고 기특한 일이 있는지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