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권정식필 서간

추천0 조회수 56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권정식필 서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설> 서간은 일반 글과는 달리 말 대신 쓰는 글로 수신인이 있고 수신인과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예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서간문이라는 형식이 생겨났다. 발신인(發信人)‚ 수신인(受信人)‚ 용건(用件)의 구성요소를 가지며‚ 이두로는 고목(告目)‚ 기별이라고 하고‚ 조선시대 이전부터는 우무‚ 유무‚ 글월이라 하였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 편지라는 말이 쓰였다. 순한문이나 이두문을 섞어 쓰는 한문서간과 순한글이나 한자를 섞어서 쓰는 언간(諺簡)이 있으며‚ 한글편지는 내간(內簡)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한문서간에는 수필과 평론의 구실을 하는 문학작품인 것도 있어 한묵(翰墨)이라는 명칭도 생겼다. 내용에 따라 문안(問安)‚ 평신(平信)‚ 하장(賀狀)‚ 위장(慰狀) 등으로‚ 용도에 따라 실용서간과 문예서간으로 나뉜다. 현대의 편지글에는 한문서간과 일본서간이 스며 있다. <작가> 권정식(權鼎植)은 전북 순창군(減昌郡) 가잠(嘉岑)출신이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이 서간은 권정식이 왕수환에게 보낸 답장이다. 정식(鼎植)은 무무(貿貿)한 야인(野人)으로 밭두렁에 엎드려 호미와 곰방메로 일을 삼고 있는데‚ 뜻밖에 이제 문헌 대가(?家)께서 보배로운 시집(詩集)을 주시매 이 비길데 없는 성의에 감격하고 소경이 보배로운 구슬가짐을 부끄러워 합니다. 매천(梅泉)은 진실로 우리 동남(東南)의 보배로써 순국의 열(烈)을 더하므로 당시에도 빛나고 백세(百世)에도 향기로울 것이니‚ 누가 흠앙(欽仰)하지 않으며 그 시를 한 번 얻어 보고 싶어하지 않겠습니까? 열 겹으로 싸서 높이 두고 어루만지며 한숨 쉬고 장차 자식과 손자들로 하여금 이를 읽도록 하겠습니다. 지방의 글 하는 가문들이 아마도 이미 들어서 알 것이니 누누이 말씀 아니하겠습니다. 천만 갖추지 못하오니 살펴주시기 바랍니다. 임자년(1912) 10월 16일 생 권정식 재배 <기타참조>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상‚ 미래문화사‚ 1985. <참고문헌>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상‚ 미래문화사‚ 198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2.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