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김상국필 서간

추천0 조회수 57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김상국필 서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설> 서간은 일반 글과는 달리 말 대신 쓰는 글로 수신인이 있고 수신인과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예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서간문이라는 형식이 생겨났다. 발신인(發信人)‚ 수신인(受信人)‚ 용건(用件)의 구성요소를 가지며‚ 이두로는 고목(告目)‚ 기별이라고 하고‚ 조선시대 이전부터는 우무‚ 유무‚ 글월이라 하였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 편지라는 말이 쓰였다. 순한문이나 이두문을 섞어 쓰는 한문서간과 순한글이나 한자를 섞어서 쓰는 언간(諺簡)이 있으며‚ 한글편지는 내간(內簡)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한문서간에는 수필과 평론의 구실을 하는 문학작품인 것도 있어 한묵(翰墨)이라는 명칭도 생겼다. 내용에 따라 문안(問安)‚ 평신(平信)‚ 하장(賀狀)‚ 위장(慰狀) 등으로‚ 용도에 따라 실용서간과 문예서간으로 나뉜다. 현대의 편지글에는 한문서간과 일본서간이 스며 있다. <작가> 김상국(金祥國)의 자는 사원(士元)‚ 호는 창산(滄山)으로 매천(梅泉) 황현의 제자이다. 사립태극학교(私立?極學校)의 교사를 지내기도 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이 서간은 김상국이 왕수환에게 보낸 것이다. 이달 8일에 문득 구슬같은 편지를 받으니‚ 겸손한 군자란 우리 친구같은 이를 말한 것입니다. 소식을 천리까지 부쳐 객지에서 쓸쓸한 나의 회포를 위로해 주시고‚ 또 성인의 교훈을 인용하여 이 몽매한 사람을 깨우쳐 주시니‚ 아아! 운초(雲?)여‚ 운초가 아니면 누가 이 말을 하여 서로 충고할 것인가. 읽고 또 읽으니 평생의 두터운 정의를 깊이 느낍니다. 비록 천지가 변하고 뒤집어져 일월이 암흑같은 이 때를 당하여 국민된 자로서 어떤 사람은 은사금을 받고‚ 어떤 사람은 마찌니(瑪志尼)를 짝하여 바다 위에 눈물을 뿌리고 하늘가에 발을 구르며 참담하고 불안하여 한가히 살지 못하니‚ 어찌 옛 성인의 부모 계시거든 「멀리 나가지 말라」고 한 훈계를 지키기만 합니까? 다만 나는 무능하여 말할 것이 없고‚ 사람의 자식된 도리를 잃었으니 죄가 만번 죽어 마땅합니다. 매천 선생의 유집을 간행한다는 것은 내 뜻에 바로 맞으나 출판하려면 반드시 모처(某處)의 승인을 얻어야 할 것인데 승인은 된다고 기약할 수 없고‚ 가령 승인한다 할지라도 선생님 행장 중에 큰 절의(節義)는 한 글자도 삽입할 수 없을 것이므로 어찌 여산(廬山)의 진면목(眞面目)을 잃은 것이 되지 않겠습니까? 이 일은 중대(重?)하여 한 번 하면 두 번 하기 어려우니 천천히 기회를 기다려 완벽을 도모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고견은 어떠하십니까? 난곡(蘭谷)은 문을 닫고 숨이 끊어질 듯하여 말할 형편이 안이로다. 그러나 우리가 선생님을 천하 만세에 빛나게 하는 것은 최대의 목적을 관철하는 데 있음이요‚ 유집을 간행한 데에만 있지 아니하니 또 어찌 구구하게 하겠습니까? 이달 그믐에 기필코 말미를 얻어 내려가겠습니다. 그러나 이상 아뢴 바를 우선 황계방(黃季方)씨 및 여러 동지들에게 두루 알려주십시오. 이만 줄입니다. 신해년(1911) 2월 12일 김상국 이배 <기타참조>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하‚ 미래문화사‚ 1985. <참고문헌>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하‚ 미래문화사‚ 198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전싱문화연구원‚ 1992. 되고‚ 경재(耕齎)는 먼데 있어 상의하기 어려우며‚ 주변에 친하다는 여러 동지들에게 말해보아도 역시 모두 예예 하면서도 어렵게 생각하니 어찌할 것입니까? 저는 지난 겨울부터 이 일을 허망하게 생각하고 계책을 펼 길이 없어 이에 광문회(光文會) 회원과 꾀하여 내가 스스로 회에 가입하여 이 의논을 꺼냈습니다. 그러나 광문회의 목적이 고서(古書)를 간행한 데 있고‚ 승인을 얻기가 곤란하기 때문에 여러 차례 사절(謝絶)당했습니다. 집을 취해서 국문으로 번역하고 작문 교과서를 삼으려 한즉 모처(某處)가 일본어가 아니면 신간(新刊)을 허가하지 않는다 하니‚ 아아! 슬프도다. 천하 삼대 자유 중에 출판의 자유가 그 안에 있거늘‚ 아아! 우리 인종이 어찌 이에 이르렀는가? 실성대통(?聲?慟)할 일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