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왕성순필 서간

추천0 조회수 152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왕성순필 서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설> 서간은 일반 글과는 달리 말 대신 쓰는 글로 수신인이 있고 수신인과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예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서간문이라는 형식이 생겨났다. 발신인(發信人)‚ 수신인(受信人)‚ 용건(用件)의 구성요소를 가지며‚ 이두로는 고목(告目)‚ 기별이라고 하고‚ 조선시대 이전부터는 우무‚ 유무‚ 글월이라 하였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 편지라는 말이 쓰였다. 순한문이나 이두문을 섞어 쓰는 한문서간과 순한글이나 한자를 섞어서 쓰는 언간(諺簡)이 있으며‚ 한글편지는 내간(內簡)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한문서간에는 수필과 평론의 구실을 하는 문학작품인 것도 있어 한묵(翰墨)이라는 명칭도 생겼다. 내용에 따라 문안(問安)‚ 평신(平信)‚ 하장(賀狀)‚ 위장(慰狀) 등으로‚ 용도에 따라 실용서간과 문예서간으로 나뉜다. 현대의 편지글에는 한문서간과 일본서간이 스며 있다. <작가> 왕성순(??減 1869-1923)의 자는 원초(原初)‚ 호는 우아당(尤雅堂 )‚ 경암(敬菴)‚ 본관은 개성이다. 1887년 19세 전후정시(前後庭試)에 급제하여 승정원 주서로 임명되었고‚ 사헌부의 장령‚ 사간원 司諫‚ 홍문과 시강(侍講)을 지냈다. 1923년 김택영 저 교정삼국사(校正三國史)의 교정을 하였다. 저서로는 우아당집(尤雅堂集)‚ 조선오현문초(朝鮮五賢文?)가 있고‚ 편서로는 여한십가문초(麗韓十家文?)가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이 서간은 왕성순이 왕수환에게 보낸 것이다. 성순(?減)은 답장합니다. 전날에 창강(滄江) 선생이 매천집 수백 책(冊)을 부치시고 또 말씀하시기를 “그대의 종씨(宗氏)인 왕군(?君) 모(某)가 돈을 거두어서 발간하게 된 것이다. 그 사람은 집안이 대대로 뛰어난 문한(文翰)을 하였고 일찍이 매천을 종유(從遊)한 사람인데 이 일에 혹시 저네들의 의심을 받을까 염려하며 나에게 부탁하여 그쪽으로 돌려 보내라고 해서 이와 같이 번거롭게 하지만 조만간에 왕군이 마땅히 와서 찾아갈 것이다”하고 햇습니다. 성순이 마음 속으로 생각하되 의(義)를 사모하기를‚ 왕군 같은 분은 이 세상에 극히 드물 것이고 다행히 나와 일가간의 친(親)함이 있으니 만일 이로 인해 서로 만나 보고 문자(文字)의 인연을 맺는다면 진실로 원했던 바입니다. 인편으로 갑자기 편지를 주시고‚또 좋은 글을 주시어 일가의 정의가 더욱 온화(溫和)하고‚ 문장의 이치가 빛나 읽어보니 기쁜 마음이 만난 것과 같습니다. 그러나 우리 두 사람이 서로 천리나 떨어져 있어 발자취가 버성기어 창강이 아니었다면 거의 서로 잊어버렸을 것입니다. 한편으로는 부끄럽고‚ 한편으로는 다행이 아니겠습니까”‚ 한국전싱문화연구원‚ 1992. . 몇 해 전에 경환(京煥)이 찾아왔으나 또한 중씨(仲氏)가 된 줄을 알지 못하고‚ 다만 객지살이의 모양이 초췌(憔?)하여 귀향(歸鄕)해 낮에 밭갈고 밤에 도서할 것을 권면(勸勉)하였으나 지금까지 거처를 정하지 못하고 여기저기 분주하다 하니 심히 측은합니다. 매천집은 제가 있는 곳에 간직하였으니 염려마십시오. 이제 별지에 의하여 30질을 인환(引換)으로 부치니 도착한 즉시 수납하셔야 할 것인데 어느 때나 받아 보실런지요. 오직 천만 자중하시기 바라고 답장을 올리며 이만 줄입니다. 임자년(1912) 4월 13일 성순(?減) 배복 <기타참조>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상‚ 미래문화사‚ 1985. <참고문헌>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상‚ 미래문화사‚ 198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