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왕수환외필 서간

추천0 조회수 58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왕수환외필 서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설> 서간은 일반 글과는 달리 말 대신 쓰는 글로 수신인이 있고 수신인과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예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서간문이라는 형식이 생겨났다. 발신인(發信人)‚ 수신인(受信人)‚ 용건(用件)의 구성요소를 가지며‚ 이두로는 고목(告目)‚ 기별이라고 하고‚ 조선시대 이전부터는 우무‚ 유무‚ 글월이라 하였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 편지라는 말이 쓰였다. 순한문이나 이두문을 섞어 쓰는 한문서간과 순한글이나 한자를 섞어서 쓰는 언간(諺簡)이 있으며‚ 한글편지는 내간(內簡)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한문서간에는 수필과 평론의 구실을 하는 문학작품인 것도 있어 한묵(翰墨)이라는 명칭도 생겼다. 내용에 따라 문안(問安)‚ 평신(平信)‚ 하장(賀狀)‚ 위장(慰狀) 등으로‚ 용도에 따라 실용서간과 문예서간으로 나뉜다. 현대의 편지글에는 한문서간과 일본서간이 스며 있다. <작가> 왕수환(?粹煥)은 1912년 『개성가고(開城家稿)』를 간행하였으며‚ 1908년 봄에 세워진 사립학교인 구례 호양학교(壺陽學校)의 교사로서 학생들에게 독립사상을 고취시키고 황현‚ 김택영 등과 교유하였다. 권봉수(權鳳? 1872-1940)의 자는 경소(景韶)‚ 호는 지촌(芝村)‚ 본관은 안동(安東)이다. 매천의 제자이면서 매천집 간행 주역의 한 사람이다. 박창현(朴暢鉉 1863-1929)의 자는 춘경(春卿)‚ 호는 매사(梅史)‚ 본관은 순천(順?)으로 전남 구례 출신이다. 매천집 간행 주역의 한 사람이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이 서간은 왕수환‚ 권봉수‚ 박창현 세 사람이 황병욱에게 보낸 것이다. 인근 하동(河東)과 진주(晋州)에 아는 사람이 없고‚ 있어도 그 주소를 자세히 알지 못하기 때문에 선생의 주선을 청하오니 싫어하지 마시고 우리가 직접 보낸 편지처럼 이 편지를 우편으로 믿을 만한 사람에게 보내 주시고‚ 혹 의리 있는 군자가 있으면 경남 수군으로 하여금 사문(斯文)에 이런 일이 있음을 알리는 것이 좋겠습니다. 매천집은 4책인데 문이 2책이고‚ 시가 2책으로 5백질을 간행하여 백질은 중국에 반포하고‚ 4백 질을 우리나라에 반포할 계획입니다. 중국이 비록 소요(騷擾)중이나 이러한 일들은 지장이 없을 것이니 딴 말씀은 마시고 각별히 노력하여 주선해 주시기를 천만 바랍니다. 초겨울에 편지를 보내려고 하였으나 주소가 자세하지 않아서 하동 사람으로 하여금 찾아서 전하도록 하였는데 받아보셨습니까? 못받으셨습니까? 전편지에 황매천집 모간사로 저희들의 발문과 창강 모간기를 드렸으니 이제 중첩해서 보낼 필요는 없을 것입니다. 다만 요사이의 형편을 대략 말씀드립니다하여 협조할 수 있도록 하여 주시고‚ 겸하여 그곳 여러 선비들에게도 통지하여 호남(湖南)에서 이러한 일이 있다는 것을 알려 주시는 것이 어찌 성기(聲氣) 상통(相通)의 의의가 아니겠습니까? 한 장의 편지로 옥음(?音)을 전해 주시기를 아끼지 마십시오. 나머지는 섣달 그믐에 체후 보중하시길 빕니다. 왕수환?박창현?권봉수 배상 <기타참조>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상‚ 미래문화사‚ 1985. <참고문헌>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상‚ 미래문화사‚ 198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2. . 이 일은 처음에 우리들이 나라를 빼앗기는 난리를 겪은 후 비록 정황(?況)은 다소 누그러졌다 하나 창강 선생의 의리로 인연해서 사양하지 못하고 시험삼아 친구들에게 의논해 보았는데 다행하게도 선비의 기풍이 민멸(泯滅)되지 아니하여 모두 한번 주창(主唱)함에 백 사람이 호응해 주어 수천 전(錢)을 모아서 회남으로 부쳤습니다. 겸하여 중국의 혁명군은 요순(堯舜) 삼대(三代)의 군대와 다름이 없어 이 일에 방해가 되지 않습니다. 때문에 돈이 가고‚ 편지가 와서 소식이 빈번한 중이며‚ 이제 인쇄를 시작하려고 합니다. 좋은 일이 잘되어 나간다고 할 수 있으나‚ 다만 한(?)스러운 것은 진주(晋州)?하동(河東)의 모든 선비가 이 일을 알지 못하므로 재삼 말씀드리니 망언(?言)이라 하시지 말고 인편으로 탐지(探知)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