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성혜영필 서간

추천0 조회수 22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성혜영필 서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설> 서간은 일반 글과는 달리 말 대신 쓰는 글로 수신인이 있고 수신인과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예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서간문이라는 형식이 생겨났다. 발신인(發信人)‚ 수신인(受信人)‚ 용건(用件)의 구성요소를 가지며‚ 이두로는 고목(告目)‚ 기별이라고 하고‚ 조선시대 이전부터는 우무‚ 유무‚ 글월이라 하였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 편지라는 말이 쓰였다. 순한문이나 이두문을 섞어 쓰는 한문서간과 순한글이나 한자를 섞어서 쓰는 언간(諺簡)이 있으며‚ 한글편지는 내간(內簡)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한문서간에는 수필과 평론의 구실을 하는 문학작품인 것도 있어 한묵(翰墨)이라는 명칭도 생겼다. 내용에 따라 문안(問安)‚ 평신(平信)‚ 하장(賀狀)‚ 위장(慰狀) 등으로‚ 용도에 따라 실용서간과 문예서간으로 나뉜다. 현대의 편지글에는 한문서간과 일본서간이 스며 있다. <작가> 성혜영의 호는 남파(南坡)이고‚ 하동(河東) 술성(戌城)출신이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이 서간은 성혜영이 황현에게 보낸 것이다. 지난봄 순천에 놀러 갔을 때 석현(石峴 ) 일가 노인이 형의 글과 시를 가져와 기쁨과 즐거움이 움켜쥘 만하였습니다. 그런데 어리둥절하여 답장을 못하였습니다. 비록 바빠서 그러하였으나 정을 잊어버림이 심하여 무슨 말로 변명하겠습니까. 이제 또 한 장의 편지로 물어주시니‚ 이는 나와 견줄 수 없습니다. 이에 대인군자(?人君子)의 마음씀이 진실로 보통사람보다 다름을 알았습니다. 어찌 이같이 하실 수가 있습니까. 여기 온 젊은이는 바로 연전(年前 ) 차동(車?) 안씨의 문 밖에서 아쉽게 작별할 즈음 잠깐 상면하여 봉주 친구의 둘째 아들임을 물어 알았는데‚ 그 용모범백이 노련한 사람을 닮았고‚ 얼굴은 문장을 잘하는 것 같아 마음으로 감탄하였습니다. 이제 뜻밖에 10년 전 봉성 노인들의 요사이 소식을 자세히 들었습니다. 또 이틀밤을 자면서 토론해 보니 도한 드물게 있는 기특한 친구요‚ 족히 내 평생에 받은 위안이라 하겠습니다. 칠의각(七義閣) 일필에 대해서는 원래 정중하여야 할 것인데 어찌 졸필로 감당하겠습니까. 그러나 형과의 일찍이 좋아한 두터운 정과 멀리 부탁함을 저버리기 어려워 감히 이에 써서 바치오니‚ 기양(技?)이 있는 바에 거칠고 보잘 것 없음을 꺼리지 않고 겨우 두어 글귀를 지어 써 보냅니다. 형께서 한 번 보시고 시나 글씨를 자세하고 바르게 고쳐 하자가 없도록 하시어 대방가(?方家)에게 웃음거리가 되지 않도록 함이 어떻습니까. 오직 기체 대안하심을 빌고 갖추지 못하며 사례합니다. 제 성혜영 배배 <기타참조>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하‚ 미래문화사‚ 1985. <참고문헌>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하‚ 미래문화사‚ 198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전싱문화연구원‚ 1992.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