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산수도

추천0 조회수 75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산수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작가> 허백련(許百鍊)의 자(字)는 행민(行敏)이고 아호(雅號)는 의재(毅齋)‚ 의도인(毅道人)이며‚ 본관은 양천(陽川)이다. 조선말 남종화의 대가인 허련(許鍊‚ 1809-1892)의 방계후손으로 22세에 도일하여 법학을 전공하려다가 그림으로 바꿔‚ 귀국 후 진도에 머물면서 미산 허형(米山 許瀅)에게서 묵화의 기초를 익혔다. 1936년 조선미술원을 창립하였고‚ 1938년 광주에서 연진회(鍊眞會)를 발족시켜 호남지역의 서화전통을 지키며 많은 문하를 배출하였다. 그는 시ㆍ서ㆍ화(詩ㆍ書ㆍ畵)를 겸비한 전형적인 남종화가로서 그의 산수화와 문인화에는 사의(寫意)를 중요시하는 전통남종화 정신과 그 기법을 철저히 계승하면서도 개성있는 화풍을 보여 주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마치 그림 속에 시어가 있는 듯한 이 작품은 수묵의 적묵과 건필이 잘 조화되어 있어 비록 소품이면서도 작가의 개성과 역량을 한껏 엿볼 수 있다. 먼저 왼편의 주산(主山)과 수림(樹林)은 선염적묵법을 사용하여 화면에 우일(雨日)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으며‚ 주산과는 다르게 독필과 갈필을 사용한 버들가지는 고요한 화면에 생동감을 더하고 있다. 한편 왼편 언덕에 매어진 빈배는 비오는 날의 쓸쓸한 여운을 남기며 자연적인 시정(詩?)을 이끌고 있다. 시 서두에 평범(平凡)의 수관(首款)이 있고 말미에는 백련(百鍊)의 주문방인(朱文方印)‚ 허인(許印)의 백문방인(白文方印)이 상하가 뒤바꿔져 찍혀있다. 언문으로 쓰인 화제시는 다음과 같다. 지당(池塘)에 비 뿌리고 양류에 내개인제(안개는 개였는데)‚ 사공은 어듸가고(어디가고) 뷔배만(빈배만) 매엿난고(매였는고)‚ 석양(?陽)에 무심(無心)한 갈막이난(갈매기만) 오락가락. 이어서 ‘만곡이 부르고 반벙어리가 그리다(晩谷唱半啞子畵)’라는 관식이 있다. <기타참조> "강운 명품선"‚ 순천대박물관‚ 2001. <참고문헌> "강운 명품선"‚ 순천대박물관‚ 2001. "한국인물대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9.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