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화접장생도

추천0 조회수 72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화접장생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정통회화의 조류를 모방하여 생활공간의 장식을 위해‚ 또는 민속적인 관습에 따라 제작된 실용화(實用畵)를 말한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정통회화의 조류를 모방하여 생활공간의 장식을 위해 제작된 민화의 일종이다. 이러한 양식의 그림은 조선 후기 중인층은 물론 서민층에까지 유행하였으며‚ 대부분이 그림공부를 본격적으로 받지 못한 무명화가들에 의해 그려진 관계로 작자미상의 작품이 많다. 서민들의 일상생활양식과 관습 등의 항상성(?常?)에 바탕을 두고 발전하였기 때문에 창의성보다는 형식화한 유형에 따라 인습적으로 계승되었다. 따라서 민화는 정통회화에 비해 수준과 시대 차이가 더 심하다. 그림에서는 십장생의 요소인 괴석‚ 거북‚ 사슴 등과 모란‚ 복숭아 등을 함께 그린 화조영모에서부터 개구리‚ 사마귀를 비롯한 초충‚ 그 위를 화려하게 나는 나비‚ 사군자의 요소인 난에 이르기까지 본디 독립적 영역으로 그려지던 화재들을 한 폭의 그림에 모두 집약시키려는 듯 매우 독특한 구성을 하고 있어 주목된다. 특히 재미있는 것은 모란은 향기가 없다하여 나비와 함께 그려지지 않는 화재임에도 제2폭과 제3폭의 모란에는 나비 떼가 날아들고 있어 화려한 민화의 장식적 특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 근대 청록산수에 많이 사용되던 청록의 태점‚ 나비와 괴석‚ 꽃잎 묘사에서 태서법의 영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기타참조> "옛그림에 보이는 꽃과 새"‚ 순천대박물관‚ 2002. <참고문헌> "옛그림에 보이는 꽃과 새"‚ 순천대박물관‚ 2002.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