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화조영모8폭병풍

추천0 조회수 300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화조영모8폭병풍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정통회화의 조류를 모방하여 생활공간의 장식을 위해‚ 또는 민속적인 관습에 따라 제작된 실용화(實用畵)를 말한다. 조선 후기 서민층에 유행하였으며‚대부분이 정식 그림교육을 받지 못한 무명화가나 떠돌이화가들이 그렸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민화의 수요가 증가하고 서민층으로 보급이 가속화되면서 민화의 도식화도 급진전된다. 이 그림은 민화의 전대(前代) 모본을 바탕으로 제작되어 여염집의 안방을 장식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주문 생산된 작품이라면 그린 화자의 낙관이나 이름을 찾아볼 수 없는 것이 보통이나‚ ‘산주사(汕住寫)’라는 그린 사람의 호와 낙관이 있는 점으로 미루어 산주라는 호를 가진 이가 감상용으로 제작하였거나 누군가에게 선물하기 위해 제작한 것이라 추측된다. 제 1폭 :〈송하쌍록도(松下雙鹿圖)〉 한 쌍의 사슴과 소나무‚ 바위‚ 영지 등을 곁들여 그린 장생도이다. 특히 영지는 기사회생과 불로장생을 상징하는 것으로‚ 소나무와 함께 자주 등장하는 소재이다. 한쪽 발을 올린 채 숫사슴의 관심을 끌고 있는 암사슴의 모습에서 민화의 익살미를 느낄 수 있으며‚ 제 8폭의 토끼나 사슴 표현에 비하면 매우 섬세하고 자연스런 모습으로 묘사되고 있다. 오른쪽 화면으로 치우친 소나무는 밑 둥에서 중간이 끊겨 다시 화면 위쪽으로 이어져 자연스럽게 뻗어 내린 구도를 하고 있고‚ 솔잎도 매우 꼼꼼하게 묘사되어 있다. 소나무 사이에 떠오르는 일출은 상서로운 빛의 구름에 싸여 영지의 붉은 빛과 조화를 이루고 있다. 제 2폭 :〈매화쌍학도(梅花雙鶴圖)〉 송학도가 대개 화조도 병풍의 첫 번째 폭을 장식하는 것이 보통이나‚ 화면의 오른쪽에 있는 낙관의 위치로 보아 제8폭으로서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는 후대 재 표구 과정에서 각 폭의 순서가 뒤바뀐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몰골법과 구륵법을 동시에 사용하여 묘사한 나무와 가지표현에서 세련미가 느껴지며‚ 왼쪽으로 시선을 고정시킨 한 쌍의 학은 그 고고한 자태를 자랑하고 있다. 그러나 전면에 묘사된 학의 한쪽 다리를 완성시키지 않고 그림의 테두리까지 뻗어 내리게 해 중심이 되는 소재를 완벽하게 묘사하는 민화의 특성과는 달리 미완성된 느낌을 준다. 제 3폭 :〈양류유압도(楊柳遊鴨圖)〉 화조도 본래의 생동감은 소멸되었으나 화면구성에는 짜임새가 있고 시원하다. 청둥오리 두 마리가 물 속에서 정지 자세로 서있는 듯 하고‚ 수양버들 사이를 날아드는 노랑 꾀꼬리 한 쌍은 어색하게 드리운 수양버들잎의 색채와 거의 구분이 없어 새들의 발랄한 움직임이 제대로 살아나지 못한 아쉬움을 준다. 어는 정지한 듯한 인상을 주는데‚ 이를 반영하듯 주변의 물살은 아무런 동요 없이 고요하기만 하다. 다만 연밥 위에 올라앉아 뭔가에 열중하고 있는 한 마리의 새와 이를 바라보고 있는 다른 한 마리 새가 화면에서 약간의 미동을 느끼게 한다. 제 6폭 : 〈이화쌍치도(梨花雙雉圖)〉 (작품확인 : 물결묘사) 강물에서 튀어나온 바위 위에 한 쌍의 꿩과 활짝 핀 모란꽃을 배치하였다. 그 뒤의 강가에는 배나무를 그려 넣었는데 다소 도식적으로 묘사되고 있다. 몰골법으로 표현한 줄기와 가지‚ 구륵법을 이용한 꽃잎과 나뭇잎의 묘사가 대조를 이룬다. 화조도의 전형적 구도이기는 하지만‚ 왼쪽으로 치우쳐진 구도와 경사가 심한 바위에 앉은 꿩의 자세는 위태로워 보이기까지 하다. 제 7폭 :〈모란호접도(牧丹胡蝶圖)〉 화조화의 흔한 주제로 나타나는 소재인 들새 한 쌍과 활짝 핀 모란이 화면 중앙을 장식하고 있다. 특이한 점은 민화의 모란꽃에는 함께 등장하지 않는 나비를 그려 넣은 점인데‚ 여기서 나비는 제 4폭에서도 나타나듯 다른 소재들과는 달리 세필로 매우 섬세하게 묘사되고 있고‚ 나비의 크기 또한 들새보다도 크게 그려 강조한 점으로 미루어 그림을 그린 화자는 나비 묘사에 어느 정도 재질을 갖고 있었던 것 같다. 제 8폭 : 〈유자영모도(柚子翎毛圖)〉 바위 위의 유자나무에 가지가 휠 듯 매달린 노란 유자열매들은 풍요와 다산을 의미한다. 화조도에서 흔히 다산을 상징하는 소재인 석류 대신 유자라는 흔하지 않는 화재를 채택하여 그린 점은 민간에서 그려지던 민화 소재의 다양성과 저변화를 말해주고 있다. 유자나무 아래로 소나무 언덕이 펼쳐지고 그 위로 한 마리의 토끼와 사슴으로 보이는 짐승 한 마리가 다소곳이 앉아 있다. 이는 서구적 원근법의 개념과 달리 작품의 중심 소재를 화면의 중앙에 크게 그려 강조하는 민화의 일반적 특징이기도 하다. 멀리 떠오르는 태양은 푸른 광채를 띠며 떠오르고 있어 마치 초현실적인 꿈속의 이야기를 그림으로 옮겨 놓은 듯하다. <기타참조> "강운 명품선"‚ 순천대박물관‚ 2001. "옛그림에 보이는 꽃과 새"‚ 순천대박물관‚ 2002. <참고문헌> "강운 명품선"‚ 순천대박물관‚ 2001. "옛그림에 보이는 꽃과 새"‚ 순천대박물관‚ 2002. "두산대백과사전" 제 4폭 :〈호접약리도(胡蝶躍鯉圖)〉 배꽃과 잉어‚ 나비가 한 화폭에서 조화를 이루고 있다. 위쪽을 향해 꼬리를 잔뜩 치켜든 약리(躍鯉)의 생동감과 배꽃의 향기에 취해 그 위를 유유히 나는 나비 한 쌍의 모습이 어울려 봄날의 평온함을 더하고 있다. 물고기가 나아가고자 하는 방향을 푸른색으로 선묘된 물살을 통해 알 수 있다. 민화의 물고기 그림은 여러 가지 길상적 의미가 담긴 상징화이다. 물고기는 알을 많이 낳아 다산이나 풍요를 의미하거나 출세와 득남을 상징한다. 제 5폭 :〈연화어락도(蓮花魚樂圖)〉 물밑에서 뻗어 오른 연 줄기는 넓은 연잎과 그 위로 피어난 연꽃을 안정감 있게 떠받치고 있다. 이리저리 떨어진 연꽃잎 사이로 노니는 붕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