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암키와

추천0 조회수 31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암키와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흙으로 만든 지붕을 이는 것으로 오목한 곡면으로 된 바닥기와. <발달과정 및 역사> 기와의 기원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으나‚ 한반도에 기와가 들어온 시기는 한나라의 무제가 위만조선을 멸망시키고 한사군을 설치한 서기전 2‚ 1세기 경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인 형태 및 특징> 기와는 지붕에 씌워 눈과 빗물의 침수를 차단하고 이를 흘러내리게 하여 지붕 재목의 부식을 방지함과 동시에 건물의 경관과 치장을 위하여 사용된다. 암키와는 기왓골을 형성하는 바닥기와로 장방형태를 이루고 있다. 제작은 원통형의 목제 모골의 바깥쪽에 포목을 감고 점토판(粘土板)을 씌워 방망이같은 고판(叩板)으로 두들겨서 건조시킨후 와도(瓦刀)로 2-4분하여 제작한다. 대부분 표면에 선(線)‚ 승석(繩蓆)‚ 격자(格子)‚ 화엽(花葉)등의 고판(叩板)무늬가 나타난다. 간혹 절이름‚ 제작기호‚ 제작연대‚ 사용처 등이 새겨져 있기도 한다. 이 암키와는 상단 모서리 일부가 결실되었다. 등면에는 선문이 시문되었으나 물손질하였다. 내면에는 포흔과 사도흔이 확인된다. 눈테부착흔은 새끼줄을 사용하였다. 분할방법은 안에서 밖으로 절단하여 부러뜨렸다. <기타참조> 백종오‚ 2001‚ “경기북부지역성곽출토 고구려 평기와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성준‚ 2000‚ “경주출토신라 평기와의 편년시안”‚ 경주대학교석사학위논문. 徐?秀‚ 1998‚ “抱川 半月山城 기와의 屬?分析과 製作時期”‚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최맹식‚ 1998‚ “백제 평기와 제작기법 신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성모‚ 1995‚ “한국전통기와 제작공정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崔兌先‚ 1993. “평와제작법의 변천에 대한 연구”‚ 경북대 석사논문. 허미경‚ 1989‚ “統一新羅期 平瓦에 대한 硏究 - 이성산성출토瓦를 중심으로 -”‚ 한양대 석사논문. 張慶?‚ 1988‚ “百濟 寺刹建築에 관한 硏究”‚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박은경‚ 1988. “고려와당문양의 편년연구”‚ 동아대 석사논문. 신창수‚ 1986‚ “황룡사지 출토 신라기와의 편년”‚ 단국대학교석사 학위청구논문. 徐五善‚ 1985‚ “韓國 平瓦文樣의 時代的 變遷에 關한 硏究”‚ 충남대 석사논문. 홍재선‚ 1981‚ “백제사비성연구 - 유물‚유적을 중심으로 -” ‚ 동국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참고문헌> 김성구‚ 1984‚ ‘통일신라시대의 와전연구’‚ “고고미술”제 162.163‚ 한국미술사학회. 김성구‚ 1992‚ “옛기와”‚ 대원사. 시공테크.코리아비주얼스‚ 2002‚ “그림과 명칭으로 보는 한국의 문화유산 1”.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