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연화문수막새

추천0 조회수 13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연화문수막새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수키와의 끝에 드림새(막새부)를 접합시킨 무늬가 새겨져 있는 기와. <발달과정 및 역사> 중국의 전국시대에 제작되었던 반원(半圓)의 수막새로부터 시작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고구려의 고분벽화나 신라 황룡사지‚ 백제 미륵사지 등에서 발견되고 있어 삼국시대부터 사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일반적인 형태 및 특징> 불교의 전래이후 대부분의 문양은 불교와 관련된 동식물과 연꽃이 주를 이루게 되며 벽사적인 성격을 지닌 귀면문도 표현된다. 드림새부는 반타원형‚ 타원형인 것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원형이 대부분이며 문양 역시 당초보상화‚ 동물귀면 등이 나타나기도 하지만 연꽃문양이 주를 이루고 있다. 연꽃문양의 막새는 중앙에 연꽃씨를 담고 있는 원형의 씨방을 중심으로 주변에 연꽃의 문양대를 돌렸다. 연꽃잎은 잎의 배치 양상에 따라 단판‚ 복판‚ 중판으로 구분된다. 원의 가장자리는 테두리로 주연이라고 부른다. 고구려의 수막새는 드림새를 선으로 4등분이나 6등분하여 구름‚ 고사리‚ 연꽃 등의 문양을 배치하는데 연꽃잎을 배치하는 것이 보통이다. 연꽃잎의 경우 끝이 뾰족하여 거의 삼각형이고 중앙에는 융기된 반구형을 배치하는 것이 특징이다. 백제의 수막새는 단판의 연꽃잎을 주로 하였는데 연꽃문양 이외의 문양은 잘 나타나지 않는다. 구획선이 없으며 꽃잎의 수는 대체로 8엽이고 고구려의 문양보다 온화한 느낌을 준다. 신라는 연꽃문양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고구려와 백제의 문양이 혼합되어 나타나고 있다. 통일신라시대는 한층 더 세련되고 화려한 막새가 제작되었는데 원형뿐만 아니라 타원형도 제작이 되었다. 연꽃문양이 주를 이루지만 보상화문이 새롭게 등장하였으며 기린‚ 봉황‚ 가릉빈가 등 불교와 관련된 동물들이 나타난다. 연꽃잎은 주로 복판‚ 중판이며 연꽃의 수술이 가미되기도 한다. 고려시대에는 새롭게 귀목문양과 범자문양이 등장한다. 드림새 중앙에 둥근 테를 두르고 중앙을 반구형으로 돌출시킨 귀목문양과 범자를 드림새면에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것은 귀목문양과 함께 쓰인다. 조선시대에는 긴 타원형으로 변화하며 문양은 연꽃‚ 초화‚ 새‚ 귀면‚ 인면 등을 새기고 있으나 퇴락하였다. 또한 막새면에 시주자나 제작시기를 새기거나 범자문‚ 만자문 등을 표현하는 경우가 많아진다. 이 막새는 일부는 결실된 것으로 적갈색을 띠고 있다. 막새면에는 8엽의 복판연화문이 시문되어 있다. 연꽃잎은 세장하고 뾰족한 형태이며 꽃잎 사이에는 간판이 있다. 씨방부는 지름 4.5cm 크기의 원형으로 높이 0.3cm로 단을 이루며 약간 돌출되어 있다. 그 안에는 연자가 표현되어 있다. 주연부는 높이 0.5cm로 단을 이루고 있으며 너비는 1cm이다. 주연부에는 0.5cm 크기의 연주문이 돌아가고 있다. <참고문헌> 김성구‚ 1984‚ ‘통일신라시대의 와전연구’‚ “고고미술”제 162.163‚ 한국미술사학회. 김성구‚ 1992‚ “옛기와”‚ 대원사. 시공테크.코리아비주얼스‚ 2002‚ “그림과 명칭으로 보는 한국의 문화유산 1”.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