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화문마루암막새

추천0 조회수 103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화문마루암막새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암키와의 끝에 장방형의 드림새(막새부)가 부착된 무늬가 새겨진 기와. <발달과정 및 역사> 삼국시대부터 사용되었고 삼국통일 이후 유행하였으며 시대적인 특징이 잘 드러난다. <일반적인 형태 및 특징> 목조기와집의 추녀끝인 기왓골의 맨 끝에 얹어져 흘러내리는 눈과 빗물의 낙수를 돕는다. 문양은 좌우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당초문 등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보상화문(寶相華紋)을 비롯한 각종 동?식물 문양이 새겨져 있다. 일반적으로 암키와에 드림새를 접합시켜 그 면에 문양을 새겨 넣은 유악식(有顎式)과 드림새가 거의 없고 암키과의 벽면을 사용하여 문양을 새겨넣은 무악식(無顎式)으로 구분된다. 막새에는 시대적인 특징이 잘 드러나는데 통일신라시대는 드림새면에 당초문과 인동보상화문양이 새겨진 것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봉황‚ 용‚ 기린‚ 비천‚ 구름‚ 꽃 등의 문양이 첨가되기도 한다. 고려시대의 암막새는 통일신라시대의 문양을 바탕으로 하고 여기에 초화‚ 곤충 등의 문양이 첨가되었다. 그리고 귀목문이 등장하는 것이 특징인데 2개를 좌우 대칭으로 표현하였다. 조선시대에는 기와의 하단부가 밑으로 늘어진 역삼각형과 반달형에 가까운 새로운 형태가 등장한다. 막새면은 종선을 그어 여러 면으로 구획한 후 기와를 올린 시주자나 제작시기를 표기하고 있다. 이 막새는 마루장식용 기와로서 마루끝에 삽입하거나 그 위에 얹혀져 각 마루의 곡선과 반전을 강조하기 위하여 사용된 기와이다. 완형이다. 막새면에는 화문이 표현되어 있는데 연화문이 변형된 형태로 보이며 활짝 핀 꽃송이 5개가 중앙의 꽃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시문되어 있다. 중앙의 꽃송이와 약간의 거리를 두고 좌우의 꽃송이 2개는 서로 접해 있다. 꽃송이는 씨방에 4개의 큰 씨가 있고 그 외곽에는 수술대가 표현되어 있다. 꽃잎은 11엽이고 복판이다. 주연부는 단을 이루고 있는데 상.하부만 단이 있으며 좌.우 양쪽은 단이 없는 형태이다. 주연부에는 0.3cm 주문이 일정한 간격으로 표현되어 있다. <참고문헌> 김성구‚ 1984‚ ‘통일신라시대의 와전연구’‚ “고고미술”제 162.163‚ 한국미술사학회. 최인선‚ 1998‚ ‘순천 금둔사지 출토 기와와 토기’‚ “문화사학? 9‚ 한국문화사학회. 김성구‚ 1992‚ “옛기와”‚ 대원사. 시공테크.코리아비주얼스‚ 2002‚ “그림과 명칭으로 보는 한국의 문화유산 1”.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