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백자

추천0 조회수 33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백자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정제된 고령토에 장석질의 유약을 입혀 1350℃이상에서 환원염 번조하여 유리질화된 순백의 반투명 자기. <발달과정 및 역사> 백자는 고려 초기부터 청자와 함께 일부가 만들어졌으며 조선시대에 이르러 자기의 주류를 이루게 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백자의 생산과 관리에 대해 힘을 기울였으며 전국민의 백자에 대한 선호가 대단하여 독특한 발전을 보이고 있다. 조선시대의 백자는 처음 경기도 광주와 관악산?북한산 등을 중심으로 발전하기 시작하여 점차 지방으로 확산되었으며 광주는 중앙관요로서 조선 백자가마의 핵심이 되었다. 보통 3시기로 구분을 할수 있는데 전기는 조선건국부터 17세기까지로 조선백자가 완성되는 시기로서 상감백자의 제작‚ 소멸되고 청화백자가 초기의 중국백자의 양식에서 한국적 특징을 드러낸다. 중기는 18세기 중반까지로 철화백자가 주종을 이루며 청화백자가 희귀해지다가 18세기 들어서면서 급증을 한다. 진사백자도 제작이 되고 있다. 후기는 18세기 중반이후부터 19세기 말까지로 백자의 질은 떨어지지만 대량 생산된 시기이다. 특히 청화백자가 도자기의 주를 차지하며 진사채가 곁들여진다. <일반적인 형태 및 특징> 백자는 유약의 성분‚ 가마 안의 조건 등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색조의 차이가 있다. 또한 그릇 표면에 문양을 나타낸 장식에 따라 순(純)백자‚ 상감백자‚ 청화백자‚ 철회백자‚ 진사백자로 구분이 된다. 이 밖에도 철채‚ 진사채‚ 청화채‚ 진사 청화 등의 채색기법으로 장식된 백자들도 있다. 문양에 있어서는 조선 전기에는 문양이 없는 순백자가 주로 사용되었고 한편 상감백자에서는 연당초문‚ 초화문‚ 구름문‚ 연화문 등이 주로 사용되었다. 극히 드물지만 투각과 상형기법이 사용되기도 하였다. 중기에는 양각으로 제작한 것이 드물게 있고 투각과 상형이 늘어나고 청화‚ 철화 등의 기법을 사용하였는데 매죽‚ 송죽‚ 매화‚ 국화‚ 여의두문‚ 구름문‚ 그리고 십장생을 구성하고 있는 동물들이나 포도‚ 난초‚ 물고기‚ 조개‚ 게‚ 새 등도 표현되었는데 조선 특유의 민화적인 화풍이 주로 나타난다. 또한 호작‚ 송화‚ 산수인물문 등의 민화적인 소재가 주를 이룬다. 이 백자접시는 일부는 결실되었다. 내저원각식이며 원각은 굽보다 넓게 깍았다. 유색은 회청색으로 전면에 시유되었으나 발색이 고르지 않다. 기면에는 물레흔도 확인된다. <참고문헌> 강경숙‚ 1989‚ “한국도자사”‚ 일지사. 김영원‚ 1991‚ “조선백자”‚ 대원사. 윤용이‚ 1993‚ “한국도자사연구”‚ 문예출판사.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