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현판

추천0 조회수 59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현판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글을 새겨서 문 위에 다는 널조각. <개설> 현판(懸板)은 성문이나 궁궐의 문‚ 그 밖의 건축물의 문이나 대청 위 또는 처마 밑에 글씨를 판에 새겨서 걸어 놓는 것을 말한다. 흔히 당호(堂號)라 하여‚ 그 건물의 성격을 알려준다. 이 현판에는 鳳德寮(봉덕료)라고 적혀 있다. <역사> 우리나라의 현판은 삼국시대부터 등장한다. 현존하는 최고의 현판은 영주 부석사의 무량수전(無量壽殿)과 경북 안동군 청사에 걸려 있는 안동웅부(安東雄府)의 현판은 모두 고려말 공민왕의 글씨이다. <일반적인 형태 및 특징> 현판에는 그 건축물의 의미나 유래를 담은 당호(堂號)를 새겨 넣는데‚ 당호는 석자로 짓는 것이 일반적이나 넉자로 쓰기도 한다. 예전에는 횡서(橫書)로 쓰는 것이 보통이었고 가끔 종서(縱書)로 쓰기도 했는데‚ 남대문의 숭례문(崇禮門) 등이 그 예다. 근래에는 한글을 쓰듯이 왼편에서 오른편으로 쓰기도 한다. 불교에서는 모시는 부처님의 성격에 따라‚ 대웅전‚ 관음전‚ 미타전‚ 미륵전‚ 명부전 등으로 나누어 현판을 걸어 그 건물의 성격을 표시하였다. 그리고 개인의 집일 경우는 자신의 호를 따서 당호로 삼거나‚ 혹은 선조가 지어 놓은 당호를 그대로 계승하는 경우도 많았다. 그 외에 개인의 기호에 따라 옛 시나‚ 좋은 글귀에서 당호를 따온 경우도 있다. 당호는 명필의 글을 받아서 그 글씨를 본 삼아 널빤지에 글씨를 새긴 것이 보통이다. 검은 판에 글씨를 희게 새기거나‚ 흰 판에 검은 글씨를 새겨 넣는다. 당호 첫머리나 끝에 쓴 날짜나 글씨 쓴 사람의 이름을 쓰고 낙관을 찍는 것도 있다. 궁궐의 전각이나 정자‚ 사찰의 현판은 액자로 구성하는데‚ 울거미를 단청으로 장식하거나 조각하기도 하는 등 화려함이 보이지만 일반 여염집의 경우는 소박한 형태를 띤다. <참고문헌> 한옥의 재발견(주택문화사‚ 1995)‚ 한옥의 조영(신영훈‚ 광우당‚ 1989)‚ 한국의 전통건축(윤장섭‚ 문예출판사‚ 1992)‚ 고건축(문화재연구소)‚ 17세기 불전의 장엄에 관한 연구(이강근‚ 동국대‚ 1994)‚ 한국건축사(대한건축사학회편‚ 1996)‚ 현판의 이해(이정섭‚ 서울 600년 고궁의 현판‚ 예술의 전당‚ 1994)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