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문경시 문경읍 관음리(사점마을) 가마터 7 도자기1

추천0 조회수 55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문경시 문경읍 관음리(사점마을) 가마터 7 도자기1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문경시 문경읍 관음리 가마터에서 발견된 도자기편 <위치와 유적 입지> 문경읍에서 관음리 방향으로 가다보면 관음리의 시작인 황정머리가 나온다. 황정머리에서 하늘재 방향으로 20분 정도 더 가면 마지막 동네인 관음리 포암마을이 나온다. 이 마을에는 여러 곳에서 도자기 파편과 가마의 흔적을 찾을 수 있다. 동네 입구에서 위까지 넓이 약 200㎡정도에 도편들과 가마 내부 잔해들이 산재해 있다. 이 동네에서 확실한 가마터는 세 곳이지만 몇 개의 가마가 더 존재했으리라 생각된다. 수집된 도편들은 동네 제일 꼭대기집 마당과 담‚ 헛간 등에서 수집되었다. 출토되는 유물로는 백자사발대접‚ 병‚ 제기(각제기) 그릇을 받쳐서 소성(燒成) 했던 도짐이(가마에서 도기를 구울 때 도기를 놓는 받침) 등이 출토되고 있다. <일반적인 형태 및 특징> ① 백자사발대접 유약색은 회백색이며 산화와 환원이 번갈아 가면서 소성(燒成) 되었으며 성형을 할 때 지질박을 사용하였다. 사발대접의 형태는 구연부가 직선으로 세워진 모양이다. 소성(燒成) 시 사발대접은 균형을 잃어서 휘어져 있으며‚ 바닥에는 굵은 모래가 붙어 있다. 굽은 대체적으로 두껍게 깎았으며‚ 굽에 역시 굵은 모래가 붙어 있다. 쓰임새로 보아 밥그릇으로 사용되었을 것이다. 구연부 지름이 12㎝‚ 굽 지름 6.2㎝‚ 전체의 높이 10㎝이다 ② 백자사발대접 다른 가마터에서 보기 힘든 그릇의 형태이며 그릇은 좀 오목한 형태이다. 기물(器物)의 속과 밖에 구워지는 과정에의 변화가 아주 심하였다. 유약색은 회백색으로 되어 있으며‚ 그릇 속에도 굵은 모래가 붙어 있다. 굽부분은 대체적으로 두껍게 굽을 깎았다. 외관상 그릇의 형태는 아주 좋아 보인다. 무게는 무거운 편이며‚ 굽에도 굵은 모래가 붙어 있다. 성형 시 지질박을 사용하였으며 온도는 좀 낮았으며 구연부의 지름 17㎝‚ 굽지름 6.9㎝‚ 굽의 높이 8.2㎝‚ 구연부의 두께 5㎜‚ 굽의 두께 9㎜이다. ③ 백자사발대접 유약색은 약간 회청색으로 보이며‚ 굵은 모래를 깔아서 몇 개의 그릇을 포개어서 소성(燒成) 하였다. 밑 부분의 그릇은 구연부가 뚜렷하게 보이지만 위에 그릇은 구연부가 깨어져 있다. 가마 속의 온도는 상당히 높았던 것으로 생각되며‚ 그릇은 대체적으로 두껍고 오목굽 형태를 하고 있다. 그릇의 내부는 유약이 흘러내리면서 속에 고여 있다. 그릇의 크기는 그렇게 크지 않으며‚ 국그릇 밥그릇의 용도가 아닌‚ 찬기로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 같다. 구연부의 넓이 16㎝‚ 굽넓이 6.2㎝‚ 굽두께 8㎜‚ 전체높이 6㎝이다. ④ 백자사발대접 백자사발 중에서깎는 것이 힘든 관계로 굽다리가 있는 제기들은 대체적으로 무거운 편이다. 처음의 목적은 제기였으나 바닥이 금이 가서 본래의 제기로써의 기능을 상실했기 때문에 도침의 용도로 쓰여 진 것 같다. 제기 굽다리 부분은 물레 성형을 할 때 두껍게 성형을 해서 흙이 딱딱한 상태가 아님 좀 무른 상태에서 행하여 졌으며 유약은 적당하게 녹았다. 구연부의 지름은 12㎝‚ 굽의 지름 8㎝‚ 굽다리의 높이 4.5㎝‚ 구연부의 두께 8㎜‚ 굽의 두께 12㎜‚ 각의 폭 2㎝‚ 전체의 높이 7㎝이다. ⑥ 백자제기(白磁祭器) 2 백자제기로써는 보기 드문 제기이며‚ 세련된 형태이다. 구연부가 약간 들어가면서 밖으로 누운 모습을 하고 있으며‚ 굽다리의 높이도 매우 낮은 편이다. 접시부분과 굽다리부분은 같이 성형하였으며‚ 기물(器物)의 형태는 상당히 안정된 모습을 하고 있다. 접시 바닥에는 굵은 모래가 붙어 있다. 유약색은 회백색이며 온도는 약간 낮은 듯 보인다. 제기 중에서도 작은 제기 인 것으로 보아 잔 받침용 제기로 쓰여진 것으로 추측된다. 굽의 두께와 각도 모두 깨끗하게 처리되어져 있다. 구연부 지름 11.3㎝‚ 굽다리 높이 2㎝‚ 굽 지름 6.5㎝‚ 구연부 두께 5㎜‚ 굽 두께 8㎜‚ 전체 높이 4.5㎝이다. ⑦ 백자병 1 유약색은 회백색이며 도자기편은 병의 중간부분이다. 지질박이 아닌 손으로 직접 성형 하였으며‚ 위쪽 구연부 등 대부분이 파손되었으나 도편의 각도로 보면 병의 중간부분임을 알 수 있다. 파편 외부에 청화로 그림이 그려져 있으나‚ 무슨 그림인지는 정확하게 알 수 없다. ⑧ 백자병 2 용도 면에서 유병으로 제작되었는지 술병으로 제작되었는지는 용도는 정확한 추측을 할 수 없으나 대략 유병으로 사용되어진 것 같다. 구연부와 목 부분을 제외하고는 항아리 형태를 하고 있으며 그렇게 높지 않은 것으로 생각되며 유약색은 회백색이다. 유약색으로 보면 온도는 상당히 높았던 것으로 생각되며 곰방대 없이 손으로 직접 성형 하였다. ⑨ 백자병3 병은 목 부분만 남아있으며 구연부와 밑 부분은 모두 없다. 상당히 큰 병이였다고 추측된다. 위 구연부 부분은 상당히 넓으며‚ 두께 또한 두꺼운 편이다. 유약색으로 보아 환원 소성(燒成)을 하였으며 술병보다는 유병으로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 진 것 같다. ⑩ 백자병 4 병의 상단 부의 파편이며 청화 그림이 그려진 듯 하다. 소성방법에 있어서는 산화염과 환원염의 흔적이 보인다. 속 내부는 상당히 좁아 보이며 술병보다는 유병으로써 사용된 것으로 보이며 그다지 큰 병은 아닌 것으로 추측된다. ⑪ 백자종지 유약색은 환원이 강하게 도 국그릇으로 쓰여진 것으로 간주된다. 유약색은 회백색이며 산화염이 진하게 먹은 자리는 약간 갈색으로 나타났다. 그릇의 형태는 아래 부분이 약간 오목하게 들어갔으며 전체적인 형태 면에서도 둥근 형태를 하고 있다. 두 개가 붙어 있지만 굵은 모래가 붙은 것으로 보아 아래 위 모두 다른 그릇이 있었으며 굽의 형태는 오목굽을 하고 있으며 속에 그릇과 바깥의 그릇 형태크기가 좀 다르다. 밖에 그릇 구연부의 넓이는 20㎝‚ 굽넓이 11.2㎝‚ 굽높이 10㎜‚ 전체높이 6.7㎝‚ 구연부 두께 6㎜‚ 굽의 두께 10㎜이다. ⑤ 백자제기(白磁祭器) 1 유약색은 환원염이 강하게 먹은 회백색이며 굽은 10각형의 제기다. 굽다리 부분과 위의 접시 부분은 별도로 성형하지 않고 한번에 성형하며 굽을 깎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굽 되었으며‚ 유약이 녹은 온도는 적당하였다. 굽은 속굽으로 깎고‚ 굽 부분에 굵은 모래가 붙은 것으로 보아 다른 기물(器物)속 또는 기물(器物)과 기물(器物) 사이에서 소성(燒成) 되어 진 것 같다. 기물(器物) 내부 중앙이 뾰족하게 튀어나온 것으로 보아 성형기술은 그렇게 뛰어나 보이지 않는다. 구연부 지름7㎝‚ 굽 지름 3.7㎝‚ 구연부 두께 5㎜‚ 굽 두께 7㎜‚ 전체 높이 5㎝이다. ⑫ 백자술잔 유약색은 약간 푸른빛을 띠는 백자이며 잔의 용도로 제작되어 진 것으로 보인다. 굽의 형태는 오목굽에 굵은 모래가 붙어 있다. 물레 성형과 굽깎기 모두 세련되게 처리하였다. 구연부 지름 6㎝‚ 굽 지름 3.5㎝‚ 굽 높이 6㎜ 전체 높이 4.5㎝이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