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버선

추천0 조회수 15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버선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무명 ?광목 등으로 만들어 발에 꿰어 신는 것. <개설> 발을 따뜻하게 보호하고 모양을 맵시 있게 하기 위하여 천으로 만들어 신는 발을 위한 옷이다. <역사> 문헌상으로는 말(襪)‚ 족의(足衣)‚ 족건(足件) 등으로 표현되어 있다. 정확한 연도는 알 수 없으나 고대의 버선은 바지에 연이은 형태였을 것으로 추측한다. 1527년(조선 중종 22) 최세진(崔世?)이 쓴 《훈몽자회(訓蒙字會)》에 보션말이라고 씌어 있는 것으로서 버선의 어원을 추정할 수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모양은 버선코가 뾰족하여 위로 올라 가 있고 들어가는 부분(버선목)에 비해 발목 부분이 조금 좁게 되어 있는데‚ 버선목의 바느질 눈이 오른쪽으로 된 것은 오른발‚ 왼쪽으로 된 것은 왼발에 신는 것으로 위치를 구별한다. 버선에는 각 부위에 따르는 세부명칭이 있다. 이러한 명칭을 언제부터 구분하여 사용했는지 확실하지 않다. 종류도 용도에 따라 일반용과 예복용‚ 형태에 따라 곧은버선(고들목버선)과 누인버선‚ 만드는 방법에 따라서 흩버선‚ 겹버선‚ 솜버선‚ 누비버선 등으로 나눈다. 어린이용으로는 타래버선과 꽃버선이 있다. 색은 주로 흰색이고 광목과 무명을 주로 사용했다. 처음에는 솜버선을 삼복더위에도 신다가 나중에 홑버선과 겹버선을 신었다 . <사회문화적 의의〉 삼국시대에는 고급 직물이 버선의 재료로 사용되기도 했는데 이는 신분에 따른 제한이 있었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고려시대에는 계급의 차별 없이 흰색의 포(布)로 버선을 만들었다. 그러나 왕의 면복(冕服)에는 적색버선을‚ 왕비의 적의(翟衣)에는 청색버선을 신었다. 조선시대에도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계급에 상관없이 흰색 포의 버선을 신었다. <유사?관련 용어> 수눅‚ 코‚ 회목‚ 부리‚ 목‚ 볼‚ 겹버선‚ 타래버선‚ 누비버선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