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남바위

추천0 조회수 43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남바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이마‚ 귀‚ 목덜미를 덮게 되어 있는 겨울에 쓰는 모자. <개설> 한국의 옛날 방한모로서 남녀노소 공용으로 쓰여졌으며 일명 ‘풍뎅이’라고도 한다. 지금은 쓰는 사람들이 거의 없다. <역사> 조선 초기에 쓰였던 이엄(耳掩)에서 생겨났는데‚ 초기에는 상류층의 일상복에 착용하다가 나중에는 서민층이나 예복‚ 구군복의 벙거지 밑에도 쓰여지게 되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형태는 위가 뚫려 있으며 아래는 3단계로 곡선을 이룬다. 가장자리는 4~7㎝ 너비의 모선이 둘려 있고 모정 뒤 중앙은 4‚ 5㎝ 가량이 트여 있는 것이 특징이다. 모정의 앞뒤에는 술과 매듭‚ 산호나 비취로 된 보석류로 장식되어 있고 양옆에는 앞뒤를 연결하는 끈이 있다. 양옆에 볼과 턱을 가리기 위한 볼끼가 부착된 것도 있어 필요에 따라 붙였다 떼었다 할 수도 있었는데‚ 주로 여자용에 있다. 겉감은 대부분 단(緞)이 사용되고 안감은 융이 사용되었는데 겉감으로 면‚ 안감으로 모가 사용되기도 하였다. 겉감은 주로 검은색이고 안감은 검은색이나 초록색‚ 적색등이 쓰였다. 속에는 털이 붙은 동물의 가죽을 대고 밖에는 비단 이나 천으로 되어있다. 앞은 이마를 덮고 뒤는 귀와 목‚ 등을 덮으며‚ 위쪽에는 구멍이 뚫렸다. 부인용에는 수나 구슬 등의 장식을 달았는데‚ 조바위‚ 아얌은 이것이 조금씩 변화한 것이다. 가장자리의 모피는 검은색이나 짙은밤색이 사용되었고‚ 술은 분홍이나 진분홍색으로 하였다. 여자용에는 길상무늬나 학무늬‚ 나비무늬‚ 봉황무늬‚ 국화무늬 등으로 장식하였다. 남바위와 비슷하게 생긴 것으로 풍차라는 것도 있었는데‚ 이것은 볼끼가 모자부분과 이어져 있기 때문에 마음대로 뗄 수 없는 것이 남바위와 다른 점이다. <사회문화적 의의〉 지금은 쓰는 사람이 거의 없으나‚ 예전에는 부인과 노인들이 주로 착용하였고‚ 조선시대에는 문무신도 사모 위에 썼다고 한다. 당상관용(堂上官用)은 단(段)‚ 담비가죽으로 하고‚ 3에서 9품은 초와 쥐가죽으로 한다.한편 서민층에서는 수달피가죽을 사용하다가 값이 비싸 족제비가죽을 사용하였다. 또‚ 노인이나 허약한 사람이 추위를 막기 위해 봄철이나 가을에 착용하는 춘추(春秋) 남바위도 있다. 볼끼. <유사?관련 용어> 이엄(耳掩)‚ 조바위‚ 아얌‚ 모정(帽頂)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