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다식판

추천0 조회수 59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다식판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다식의 모양을 박아낼 때 쓰는 용구. <개설> 다식을 만들 때 사용하는 도구로 다식을 찍어내는 도구이다. 다식판에는 여러 가지 문양이 새겨져 있고‚ 이는 대물림되었다. <역사>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다식판은 대체적으로 길이 30~60㎝‚ 너비 5~6㎝‚ 두께 2~3㎝의 크기로 상하 두 쪽으로 나누어져 있다. 아래쪽 판에는 3㎝ 가량의 둥근모양이 8~10개 볼록하게 솟아 있고‚ 표면에 壽(수) 福(복) 康(강) 寧(영) 또는 卍자문양 꽃문양 등 다양한 문양이 새겨져 있다. 다식판의 생김은 나무 조각의 위 아래에 다식 모양을 파낸 것과 한 조각에 구멍을 파낸 것도 있으며‚ 각재에 원형 화형 물고기 등을 음각으로 파낸 하나의 판으로 된 것도 있다. 윗판은 아랫판에 꼭 맞게 둥근 구멍이 뚫려 있고 상하의 판 사이에 끼는 받침대가 있다. 다식을 박는 방법은 다식을 박을 때 윗판을 올려 괴고 구멍에 반죽을 넣어 눌러 찍으면 된다. 다식판과 같은 구조로 약과판이 있는데‚ 이것은 두 쪽 또는 한 쪽 판만으로 모양과 문양이 패어 있다. 이들 다식판과 약과판은 조선시대 각 가정의 상비용구였다. 다식은 제상이나 잔치용 큰상을 괼 때에는 각색 다식으로 글자와 나선문양을 만들면서 괴어 담는다. 제례에는 검은깨다식 송화다식 쌀다식 등을 쓴다. 혼례의 큰상에 노란 송화다식‚ 파란 콩다식‚ 누런 쌀다식‚ 까만 검은깨다식‚ 분홍빛 녹말다식을 섞어 괴면 매우 화려한 모양이 된다. 쌀다식은 찹쌀을 쪄서 말린 다음 볶아서 고운 가루로 빻아 소금과 꿀 또는 조청을 넣어 만든 것이다. 송화다식은 봄철의 소나무에 피는 송화를 말려두었다가 꿀 또는 조청에 반죽하여 만든 것이다. 밤다식은 삶은 밤을 속껍질까지 벗겨 곱게 찧는다. 그 다음에 이것에 계피가루 유자청 꿀 또는 조청을 섞어 반죽하여 만든 것이다. 검은깨다식은 검은깨를 살짝 볶아서 가루로 만든다. 그 다음에 기름이 나오도록 오래 찧은 것을 꿀 또는 조청으로 반죽하여 만든 것이다. 잡과다식은 밤 가루에 대추와 곶감을 찧은 것을 함께 섞어 다식판에 박아 만든다. 이밖에 콩가루 녹말가루 용안육을 이용한 다식도 있다. <사회문화적 의의> 다식판의 대물림은 가문을 상징하기도 한다. 한 집안의 주부는 다식판을 대물림하면서 가문 또는 집안의 정통성을 입증한다. 이러한 이유는 다식이 주로 손님들에게 접대하던 음식으로 다식의 정갈함은 집안의 정갈함과도 일치하기 때문이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