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다리미

추천0 조회수 77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다리미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옷이나 피륙의 구겨진 주름살을 펴는 데 사용되는 기구. <개설> 옷이나 헝겊‚ 피륙의 주름을 펴는 사용하는기구로 주름을 펴는 것을 다린다고 하여 다림이라고 하였다가 다리미가 되었다. <역사> 다리미의 유물이 신라고분이나 백제고분에서 출토되는 것으로 보아 삼국시대부터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19세기의 <오주연문장전산고>에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17‚ 18세기 경부터는 매우 대중적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다리미는 한자어로는 ‘울두(複斗)’ 또는 ‘화두(火斗)’라고 하였다. <오주연문장전산고>의 기록에 의하면 “고무(?沐)는 속명으로 다리우리라고 하며‚ 불붙은 숯을 넣고 옷감을 펴는 것”이라 하여‚ 고무라고도 하고 우리말로는 다리우리라 하였음을 알 수 있다. 온도가 높기 때문에 살균 효과가 있고 곰팡이나 해충의 알도 죽이므로 섬유를 오랫동안 보존할 필요가 있을 때도 이용된다. 종류로는 열원에 따라 숯다리미 가스다리미 전기다리미 등이 있으나 가정에서는 편리하고 안전한 전기다리미를 주로 사용한다. 이전에는 숯불을 담아서 쓰는 숯다리미가 많이 사용되었는데‚ 이것은지름이 20cm 정도의 오목한 그릇 모양으로 주철로 만들어졌으며 바닥은 매끄럽고 나무로 만든 긴 손잡이가 달려 있다. 손잡이가 달린 숯다리미의 다림질 방법은 다림질감을 다림질판에 놓고 다리는 것이 아니라 두 사람이 다림질감을 마주 잡아당기면서 그 위를 문질러 다림질한다. 이 때 여러 번 문지르지 않아야 하며 뜨거운 다리미로 단번에 습기를 말리면서 다려야 풀도 서고 곱게 다려진다. 그 밖에 19세기 중엽 영국에서 처음 제작된 재래식 다리미로 오늘날의 전기다리미와 모양이 비슷하나 숯불을 넣고 사용하는 다리미가 있고‚ 숯불이나 연탄불 위에 다리미 자체를 올려놓아 뜨거워졌을 때 사용하는 것도 있다. 재래식 다리미는 전기다리미의 보급으로 자취를 감추었다. 전기다리미는 운모판(雲母板)에 니크롬선을 감은 발열체(發熱體)를 바닥쇠와 중추쇠 사이에 끼워 열을 밑면에 전하는 것으로‚ 중량은 별로 문제가 되지 않으며‚ 발열체나 재료금속의 개발로 가볍고 열효율이 좋은 품종이 개발되고 있다. 가정용으로는 250~600 W가 사용되며‚ 상업용으로는 W수에 덧붙여 중량이 많을수록 다소 효과가 좋다. 작은 것은 가볍고 다루기 쉬우나 빨리 식으며 온도변화가 있어서 다림질이 고르지 않다. 자동온도조절기가 붙은 자동다리미는 내부에 바이메탈에 의한 전류의 단속장치(斷續裝置)가 있어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다이얼을 돌려서 바이메탈의 접점거리를 조절하면 온도가 조절된다. 주로 섬유에 대한 적정온도를 각 섬유명으로 표시하고 있는 것이 보통이며‚ 화학섬유 등 내열성이 낮은 섬유의 다림질에 편리하다. <사회문화적 의의> 다림질은 옷감의 주름을 펴는데 사용했던 것으로 우리고유의 옷감은 다림질을 하여 펼 수 있는 명주‚ 베 등을 사용하였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