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나무바가지

추천0 조회수 114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나무바가지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물을 펄 때 쓰는 나무로 만든 용기. <개설> 한국 가정의 필수품으로 쌀을 퍼거나 여러 가지 곡식을 펄 때 쓰이며 물을 펄 때 가장 많이 사용된다. <역사> 바가지의 기원은 오랜 옛날인데. 신라의 시조 박혁거세(朴赫居世)의 탄생신화라든지‚ <삼국유사>의 <원효조(元曉條)>에 바가지를 두드려 악기로 썼다는 기록을 볼 수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한국 가정의 필수용품으로서 쌀을 퍼내는 쌀바가지‚ 장독에 두고 쓰는 장조랑 바가지‚ 물을 퍼내는 물바가지‚ 소의 먹이를 떠내는 쇠죽바가지 등 용도가 다양하다. 재료는 예전에는 박이나 나무바가지를 썼는데 지금은 플라스틱으로 만든 것이 사용된다. 박 바가지는 봄에 박씨를 뿌렸다가 가을에 박을 따서 만드는데‚ 반(半)으로 켜고 속을 파낸 다음‚ 삶아 다시 안팎을 깨끗이 긁어낸 후에 말려서 쓴다. 물바가지로는 바가지 중에서 가장 큰 것이 쓰이며‚ 5홉이나 1되 용량의 것은 쌀바가지로 쓰인다. 호리병모양으로 열리는 조롱박은 손잡이 부분이 있고 용량이 적어 장을 뜨는 장바가지로 쓰기에 알맞다. 또‚ 바가지는 국수를 뽑는 용구로도 쓰였다. <사회문화적 의의〉 바가지는 주술이나 금기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는데‚ 혼인 때 신부의 가마가 신랑집 문 앞에 다다르면 박을 통째로 가져다 깨뜨렸고‚ 납채(納采) 때에는 바가지를 엎어놓고 발로 밟아 깨뜨려 소리를 냈다. 또 병액을 쫓는 굿이나 고사에도 이용되었으며‚ 가정에서는 바가지를 밥상 위에 올려놓지 못하게 하였고‚ 바가지 파편이 아궁이에 들어가면 불길하게 여기는 등‚ 박은 실용성을 넘어 민속신앙으로까지 발전하였다. <유사 관련 용어> 규곤시의방(閨璟是議方)‚ 원효조(元曉條)‚ 조롱바가지‚ 물바가지‚ 장바가지‚ 납채(納采)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