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사방등

추천0 조회수 33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사방등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사등(紗燈)처럼 네모나게 짜서 천장에 다는 등이다. <개설> 사등(紗燈)처럼 네모나게 짜서 천장에 다는 등이다. 달아매기 때문에 현등( 懸燈)이라고도 한다. 대청앞에 달아 놓으면 가족들이 집안을 왕래하기 편하고 이것을 끄는것으로 취침시간을 알려 주어서 매우 요긴하였다. <역사> 좌등의 원형은 고려시대에서 찾아볼 수 있다고 하는데‚ 등화(燈火)의 발달에 따라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촛대를 넣어 사용하였고 석유가 수입되기 시작한 후로는 석유 등잔을 넣어 사용하기도 했다. 요즘에는 안에 전기 설비를 하여 장식적인 목적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일반적인 형태 및 특징> 실내 공간에 놓아 방 안 전체를 비추던 등기구로 실내에 놓고 사용하는 좌등(座燈)의 일종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불교가 전래된 이후 제등이 불교 행사에 사용되면서 제등 양식이 크게 발달하였다. 대개 철사‚ 놋쇠‚ 대나무‚ 나무 등의 재료로 사각‚ 육각‚ 팔각의 골격을 만들고 표면에 종이나 비단을 발랐는데‚ 유리가 수입된 이후에는 유리를 끼우기도 하였다. 주로 각재(角材)나 반죽(斑竹)‚ 오죽(烏竹)을 사용하여 장방형으로 사각기둥을 만들고 한 쪽 면에 문을 달았다. 한편 조선 후기로 갈수록 등의 외양을 다양한 조각으로 장식하고 주칠(朱漆)을 하였으며 특히 족대(足臺)에 치장을 많이 하여 하나의 화려한 가구와도 같았다. 그리고 밑에는 서랍을 달아 초 등의 주변기기를 정리하도록 하였다. 표면에는 기름종이‚ 비단‚ 유리 등을 끼워 사용하였다. <유사 관련 용어> 좌등(座燈)‚ 바닥등‚ 실내등‚ 서랍달린 등기‚ 가구양식 등기‚ 현등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