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탕기

추천0 조회수 70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탕기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제기 중에서 국을 담는 그릇. <개설> 주로 국그릇으로 쓰이는 식기이다. 반상기에서는 주발보다 운두가 좀더 낮고 넙적한 그릇을 탕기라고 한다. <일반적인 형태 및 특징> 식사 때 물그릇으로 쓰는 크고 넓적한 그릇이 대접인데 정식 반상기에서는 대접 대신 탕기라는 명칭으로 따로 쓰였다. 요즘 탕기는 사용하지 않고 대접으로 통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탕기류 중에서 주둥이가 안으로 오므라든 것으로 부녀자들의 밥주발로 쓰이는 것을 발탕기라 한다. 탕기는 바로 이 발탕기보다 더 큰 그릇이다. 제기는 용도에 따라 술과 물을 다루는 데 쓰이는 제기‚ 제물이나 제찬과 같은 제수(祭需)를 담는 제기‚ 그리고 그 밖의 것으로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공공제례와 사사제례의 제기의 차이도 그 형태와 제수의 종류에 따라 각각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공공제례의 제기는 왕가의 종묘제례의 것으로 대표된다. 종묘제례에 쓰이는 제기 가운데‚ 제수를 담는 것을 제수와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네 가지의 밥을 담는 제기로는 보(拏)와 궤(寬)가 있다. 보에는 쌀밥과 기장밥을 담으며‚ 궤에는 메기장밥과 피밥을 담는다. 국을 담는 그릇은 등(傘)이라고 하는 데 제사 때 사용하는 국은 소금도 치지 않고 양념도 하지 않은 것으로 갱(羹)이라고 한다. 조(俎)는 도마와 같이 생긴 제기로서‚ 양?소?돼지의 날고기인 희생(犧牲)을 올려놓는 데 쓰인다. 변(頭)은 대나무를 얽어 만든 제기로서‚ 과일과 떡?포 등을 담는 데 쓰인다. 두(豆)는 단지 모양으로 생긴 제기로서‚ 나무로 만들었다. 변과는 달리 이 제기는 물기가 있는 제물을 담는 데 쓰인다. 술과 물을 다루는 제기로는 작(爵)?계이(鷄彛)?조이(鳥彛)?가이(呵彛)?황이(黃彛)?희준(犧暹)?상준(象暹)?산뢰(山來)?착준(著暹)?호준(壺暹)?용찬(龍瓚) 등이 있다. 이 가운데에서 작과 산뢰는 4계절 모두 쓰이나‚ 계이?조이?희준?상준은 봄과 여름의 제사에만‚ 가이?황이?착준?호준은 가을과 겨울의 제사에만 사용된다. 작이란 구리로 만든 술잔의 하나로‚ 위로는 양쪽에 자루가‚ 아래로는 세 개의 다리가 달려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