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써래

추천0 조회수 42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써래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말이나 소로 끌게 하여 갈아놓은 논밭의 바닥을 고르는데 쓰는 농구. <개설> 써래는 축력의 힘을 이용하여 갈아 놓은 논이나 밭의 흙덩이를 부수거나 바닥을 판판하게 고르는 데 하는데 사용하는 농기구이다. <역사> <농사직설>에는 목작(木斫)으로 표기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조선 중기 이후에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써래의 형태는 긴 토막나무에 둥글고 끝이 뾰족한 이빨 6~10개를 빗살처럼 나란히 박고‚ 위에는 손잡이를 가로대었다. 토막나무에 대각을 이루도록 긴 나무를 박고 여기에 봇줄을 매어 소의 멍에에 잡아매었는데 일부지역에서는 봇줄을 매지 않고 양 나루채 자체가 소의 멍에까지 이르도록 길게 만든 것을 쓰기도 한다. 써래의 몸체는 보통 소나무로 만들며 써랫발은 참나무나 박달나무같이 단단한 나무를 깎아 쓰지만‚ 한두 해가 지나면 갈아주어야 한다. 일부지역에서는 논에서 쓰는 것을 ‘무논써래’‚ 밭에서 쓰는 것을 ‘마른써래’라고 하여 두 가지로 구분하기도 한다. 마른써래는 써랫발이 하늘을 향하도록 뒤집어 놓고 이 위에 아이들이 올라타고 소가 끌도록 한다. 이렇게 하면 덩어리진 밭의 흙이 깨뜨려지는 것이다. 또‚ 못자리를 판판하게 고르는 번지를 따로 쓰지 않는 곳에서는 써래의 발과 발 사이에 새끼줄을 감고 이것을 논바닥 위로 끌어서 판판하게 고른다. 공이써래는 전라남도 고흥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옹이진 참나무 자연목 6‚ 7개를 밑으로 하여 바닥을 만들기도 하고‚ 옹이가 없으면 따로 발을 만들어 끼워 이것을 소가 끌게 하면서 장정이나 어린아이가 타거나 큰 돌을 얹는 써래를 말한다. <사회문화적 의의> 써래의 무게는 보통 10㎏ 내외이며 소와 남자 한 명이 하루에 논 2‚000여 평을 다룰 수 있는데‚ 이 써래질이 끝나면 논농사의 중요한 고비 하나를 넘긴 셈이므로 ‘써래시침’이라고 하여 음식과 술을 장만하여 농악을 치면서 하루를 즐기는 풍습이 있다. <유사관련용어> 쓰래(경기도 덕적)‚ 써리(경상남도 영산)‚ 써으리(전라남도 영광)‚ 써그레(강원도 도계)‚ 성으리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