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백자제기

추천0 조회수 73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백자제기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백자로 만든 그릇으로 제사를 지낼 때 사용하는 그릇. <개설> 백자는 사기를 말하며‚ 사기를 구워 만든 그릇 가운데‚ 제사음식을 담아 제사를 지내는 데 사용하는 그릇을 백자제기라고 한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제기는 용도에 따라 술과 물을 다루는 데 쓰이는 제기‚ 제물이나 제찬과 같은 제수(祭需)를 담는 제기‚ 그리고 그 밖의 것으로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공공제례와 사사제례의 제기의 차이도 그 형태와 제수의 종류에 따라 각각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공공제례의 제기는 왕가의 종묘제례의 것으로 대표된다. 종묘제례에 쓰이는 제기 가운데‚ 제수를 담는 것을 제수와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네 가지의 밥을 담는 제기로는 보(拏)와 궤(寬)가 있다. 보에는 쌀밥과 기장밥을 담으며‚ 궤에는 메기장밥과 피밥을 담는다. 국을 담는 그릇은 등(傘)이라고 하는 데 제사 때 사용하는 국은 소금도 치지 않고 양념도 하지 않은 것으로 갱(羹)이라고 한다. 조(俎)는 도마와 같이 생긴 제기로서‚ 양. 소. 돼지의 날고기인 희생(犧牲)을 올려놓는 데 쓰인다. 변(頭)은 대나무를 얽어 만든 제기로서‚ 과일과 떡. 포 등을 담는 데 쓰인다. 두(豆)는 단지 모양으로 생긴 제기로서‚ 나무로 만들었다. 변과는 달리 이 제기는 물기가 있는 제물을 담는 데 쓰인다. 술과 물을 다루는 제기로는 작(爵). 계이(鷄彛). 조이(鳥彛). 가이(呵彛). 황이(黃彛). 희준(犧暹). 상준(象暹). 산뢰(山來). 착준(著暹). 호준(壺暹). 용찬(龍瓚) 등이 있다. 이 가운데에서 작과 산뢰는 4계절 모두 쓰이나‚ 계이. 조이. 희준. 상준은 봄과 여름의 제사에만‚ 가이. 황이. 착준. 호준은 가을과 겨울의 제사에만 사용된다. 작이란 구리로 만든 술잔의 하나로‚ 위로는 양쪽에 자루가‚ 아래로는 세 개의 다리가 달려 있다. 백자는 크게 순백자‚ 청화백자‚ 철회백자‚ 진사백자 등으로 나뉘어 진다. 순백자는 다른 빛깔로 장식하지 않으나‚ 형태 자체에 변화를 주며 부분적으로 장식물을 첨가하거나 혹은 투각(透刻)수법으로 무늬를 표현하는 수가 있으며‚ 표현한 종류에 따라 소문백자(素文白瓷)‚ 양각백자(陽刻白瓷)‚ 음각백자(陰刻白瓷)‚ 투각백자(透刻白瓷)‚ 상형백자(象形白瓷)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청화백자는 백토로 기형(器型)을 만들고 그 위에 회청(回靑) 또는 토청(土靑)이라 불리는 코발트 안료로 무늬를 그린 다음 그 위에 순백의 유약을 씌워서 맑고 고운 푸른색의 무늬가 생기게 만든 자기이다. 청화백자에 그리는 무늬는 시대 또는 그릇의 종류에 따라 각양각색의 그림이 그려졌으며 중기 이후부터는95)‚ 사진으로 배우는 관혼상제(권영한‚ 전원문화사‚ 1998)‚ 쉽게 풀어쓴 상례와 제례(김창선‚ 자유문고‚ 1999)‚ 조선의 관혼상제(김종혁‚ 중심‚ 2002)‚ 조선시대 관혼상제 5(문옥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0)‚ 매우 복잡해져 여러 식물. 동물. 산수(山水). 십장생. 문자 등을 복합적으로 그려 넣었다. 철회백자(鐵繪白瓷)는 백토로 그릇을 만들어 낮은 온도에서 초벌구이를 해내고 그릇 표면에 산화철안료(酸化鐵顔料)로 무늬를 그리고 그 위에 백색 유약을 입혀 번조한 것으로 백자에 다갈색‚ 흑갈색 계통의 무늬가 나타난 자기이다. 진사백자(辰砂白瓷)는 도자기 바탕에 산화동(酸化銅:辰砂) 채료(彩料)로 그림을 그리거나 칠한 뒤 백자유약을 입혀서 구워내면‚ 산화동 채료(진사)가 붉은색으로 발색되는 자기이다. 조선시대에는 이러한 사기그릇을 주점사기(朱點沙器)‚ 진홍사기(眞紅沙器)라고도 불렀으며 진사백자라는 명칭은 20세기에 붙여진 이름이다. <참고문헌> 차례와 제사(이영춘‚ 대원사‚ 1994)‚ 한국의 관혼상제(장철수‚ 집문당‚ 19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