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놋촛대

추천0 조회수 86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놋촛대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놋쇠로 만든 촛대. <개설> 놋촛대는 놋쇠로 만들었으며‚ 촛대는 주로 제사를 지낼 때 사용하는 제기이거나 혼례나 상례때 사용하는 의식용이 많다. <역사> 통일신라기의 촛대와 안압지에서 출토된 초가위가 있어서 신라에서는 초가 사용되었음을 입증하고 있다. 이것으로 보아 늦어도 통일신라시대부터는 초를 사용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초는 자초‚ 홍대초‚ 포초‚ 용초‚ 밀초‚ 화초‚ 점초‚ 풍전초‚ 만리초‚ 성초‚ 잡초‚ 양초 등이 있는데‚ 그 중 자초가 갈대를 베로 묶어 표면에 납을 바른 초로 가장 오래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자초는 연기와 그을음이 심하였다. 홍대초는 다섯새의 거친 베에 붉은 물을 들인 납을 발라 길이 1척여로 잘라 만든 초로서‚ 고려 때부터 조선초까지 길흉행사에 사용되었다. 황밀초는 담황색 반투명한 색채를 띠며‚ 봉밀을 물에 끓여 불순물을 제거한 밀랍을 판 위에 놓고 굴대로 굴려 원통형으로 만든 다음 굴대를 빼고 심지를 끼워 만든 것이다. 밀초는 대부분 이와 같은 굴림법에 의하여 만들었으나‚ 조선 후기에는 밀랍을 녹여 대통 속에 넣어 굳히는 주촉법도 이용하였다. 백랍은 황밀을 고아 장지에 걸러 짜내는 정제과정을 거쳐서 만들거나‚ 사철나무나 광나무에 서식하는 백랍충의 분비물을 가열하여 얻는다. 용초는 백랍을 주홍안료로 물들여 용을 양각한 것으로 궁중의 실내용 초였다. 화초는 백랍을 물들여 모란을 장식하였고 심지는 종이를 붉게 물들여 만든 궁중의 의식용 초였다. 내점초는 황밀‚ 송지‚ 느티꽃 각 한 근과 부석(?石) 4냥을 함께 녹여 등심포로 심지를 만든 것으로‚ 하루 밤낮을 켜도 한 치 정도만 닳아 내점초라는 명칭이 붙었다. 풍전초는 황밀‚ 검은콩가루‚ 송지 각 2냥과 건칠(乾漆)‚ 찧은 실고사리‚ 초석‚ 유황 1냥으로 만든 초이다. 먼저‚ 황밀과 역청을 녹여서 나머지 재료와 함께 반죽하여 낡은 베로 심지를 하면 거센 바람에도 꺼지지 않으므로 풍전초라 하였다. 만리초는 밀 한근에 민들레‚ 주염꽃‚ 송화‚ 느티꽃 각 2전을 함께 넣어 살짝 끓여 백급 2전을 넣어 붉은 기운이 돌 때 만든 것으로‚ 만리를 켜고 갈 수 있다고 하였다. 성초는 황밀‚ 송지‚ 다진 느티나무씨 각 한 근과 속포석 8냥‚ 단풍나무의 진 2냥을 함께 끓인다. 그후 마디가 작은 7‚ 8치의 대통에 부어 굳힌 것으로 심지는 박지 않고 초 끝에만 꽂아 불을 켜도록 하였으며‚ 이 초 한자루는 10~20일간 사용할 수 있었다고 한다. 지초는 소나 돼지의 지방을 회즙(灰汁) 속에 넣고 끓여 찌꺼기를 버리기를 3‚ 4회 반복하여 깨끗한 기름을 걸러낸 다음 반으로 쪼갠 대통에 넣어 끈으로 묶어 굳힌 것으로‚ 심지는 면포를 사용하였다. 지초는 잘 녹는 특성이 있으나‚ 공주지방에서 만든 우지초는 특히 품질이 좋았는데 그 묘방은 찌꺼기를 버리는 요령에 있다고 하였다. 지초에는 송진이나 밀랍을 섞어서 만든 보다 좋은 초도 있었다. 중국에서는 지초를 담금법으로 만들고 표면에는 기름과 백랍을 7 : 3의 비율로 혼합한 백랍을 발라 체결됨을 막았다고 한다. 이밖에 부들의 꽃가루와 회초리나무기름을 섞어 만든 초와 황벽말과 참기름찌꺼기를 섞어 만든 초 및 쌀뜨물과 기름찌꺼기로 만든 초를 잡초라 하였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