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바지게

추천0 조회수 123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바지게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싸리나 대오리로 둥글넓적하게 결여 만든 발채를 얹은 지게. <발달과정/역사> 한국의 지게는 일본으로 건너갔으며 쓰시마[對馬島]를 비롯한 일부 지역에서는 한국 이름 그대로 ‘시케이’ 또는 ‘지케이’라 부른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지게는 양다리방아 ·발무자위 등과 더불어 우리 민족이 발명한 가장 우수한 연장의 하나이다. 가지가 조금 위로 벋어난 자연목 2개를 위는 좁고 아래는 벌어지도록 세우고 사이사이에 3-4개의 세장을 끼우고 탕개로 죄어서 고정시키고 위 아래로 멜빵을 걸어 어깨에 멘다. 그리고 등이 닿는 부분에는 짚으로 두툼하게 짠 등태를 달아놓았으며 이것을 세울 때에는 끝이 가위다리처럼 벌어진 작대기를 세장에 걸어둔다. 지게의 형태나 크기는 곳에 따라‚ 사람에 따라 조금씩 다르고 만드는 방법 또한 다양하다. 우선 지게 길이는 이것을 지는 사람의 키에 맞추기 마련인데 평야지대의 지게는 산간지대의 것보다 긴 편이다. 이에 비해 산간지대는 길이 좁고 가파르며 돌부리나 풀 따위에 걸려서 넘어질 위험이 높기 때문에 짧은 지게를 쓴다. 또 전북 서반부 일대의 지게는 동발과 동발 사이가 넓고 지게 자체를 지는 사람쪽으로 구부려 놓는 점에서 다른 평야 지대의 지게와 차이를 보인다. 지게를 만드는 방법에 따라 분류하면 제가지지게 ·옥지게 ·쪽지게 ·바지게 ·두구멍지게 ·켠지게 ·거지게 ·쇠지게 ·쟁기지게 ·모지게 ·부게 ·물지게 따위가 있다. 주로 소나무로 만드는 제가지지게는 ‘가지가 자연히 벋어나간 나무로 짠 지게’라는 뜻으로 우리가 아는 일반적인 지게는 모두 이에 속한다. 옥지게는 참나무로 건 지게로서 가지의 중간 부분이 위쪽으로 구부러졌다. 옥지게는 이처럼 ‘가지가 굽은 지게’라는 뜻이다. 옥지게는 강원도 산간 지대에서 섶나무나 꼴 따위를 나르는 데 쓴다. 물매가 워낙 된 곳에서는 사람이 지게를 지고 걸을 수 없는 까닭에 동발을 두 손에 쥐고 끌어내리기 위해 가지를 구부린 것이다. 가지는 불에 구워가며 조금씩 구부린다. 쪽지게에는 예전의 등짐장수들이 이용한 간단히 만든 지게와 몸에 구멍을 뚫고 가지를 끼워넣은 것의 2종류가 있으며 뒤의 것은 전북 서반부 일대가 본거지이다. 이 일대는 평야 지대로서 지게감을 구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일찍부터 이러한 지게를 만들어 썼다. 바지게는 주로 강원 영동지방에서 영서지방으로 태백산맥을 넘어 해산물을 팔러 다닌 사람이 쓴 지게로 가지가 달리지 않았으며 짐은 지게에 잡아맨다. 이들의 작대기 또한 특이하여 위쪽에는 노치를 짓고 아래에는 쇠못을 박아 놓았다. 이 쇠못은 겨울철 미끄럼 방지에 효과적이다. 두구멍지게는 가지 구멍이 위 아래 2개 있는 지게로서 짐의 종류에 따라 가지를 맞추어 끼운다. 켠지게는 지게감 하나를 톱을 이용해서 켜서 둘로 나눈 지게이다. 거지게는 동발 부분이 거의 없는 짧은 지게로서 길마 좌우 양쪽에 걸고 무거운 돌이나 긴 나무 따위를 마소의 힘을 빌어 나르는 데 쓴다. 쇠지게는 쇠로 만든 지게이고 쟁기지게와 모지게는 쟁기나 모를 나르는 데‚ 부게는 해안에서 거둔 어획물을 나르는 데 쓰이고 탄광에서도 다용도로 사용하고 있다. <참고문헌> 두산세계대백과 엔사이버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