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망건통

추천0 조회수 40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망건통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망건을 넣어 두는 갑. <개설> 상투를 틀고‚ 머리카락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머리에 두르는 장식품인 망건을 넣어‚ 보관하는데 사용한다. <역사> 망건은 명나라에서 전래되었다고 하나‚ 재료나 용도·형태가 중국의 것과 다르다. [세종실록] 2년 경자조에 마미망건(馬尾網巾)을 명나라 사신에게 증여한 기록이 있고‚ 1488년(성종 19)에 왔던 명나라 사신 동월(董越)의 [조선부 朝鮮賦]에도 조선의 망건은 모두 말총으로 만든다고 적고 있다. 그러므로 망건이 우리나라에 들어와 토착화된 뒤‚ 말총을 재료로 사용하는 방법은 도리어 중국으로 역수출된 것으로 여겨진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망건은 관모라기보다는 머리장식의 하나로서‚ 그 위에 정식의 관을 쓴다. 망건은 당·편자·앞·뒤의 네 부분으로 구성되며‚ 앞이 높고‚ 옆쪽이 조금 낮은 모양으로 되어 있다. 재료로는 말총〔馬尾毛〕이나 인모(人毛)를 사용하나‚ 인모는 일반적인 것은 아니고 해진 망건을 수리할 때 쓰인다. 망건을 쓰는 법은 당의 고에 가는 당줄을 꼬아서‚ 뒤에서 머리를 졸라 상투에 잡아매고‚ 편자는 두쪽으로 끝에 든든한 당줄을 달아서‚ 편자의 귀닿는 곳에 관자(貫子)를 달고‚ 좌우쪽 당줄을 맞바꾸어서 관자를 꾀어내려 다시 망건 뒤로 가져다가 엇걸어 맨 다음‚ 두 끝을 상투 앞으로 가져다 동여맨다. 망건은 1895년 단발령이 내려진 뒤 그 수요가 급격히 줄어들어‚ 오늘날에는 특수단체나 노인층 약 5‚000명 정도가 쓰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망건을 만드는 일은 1980년 11월 중요무형문화재 제66호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기능보유자는 제주도 제주시 삼양동에 사는 이수녀(李受?)이다. 이 망건통은 팔각통 형태로 종이를 겹쳐 붙여 통의 형태를 만들고 뚜껑부분에는 양각 기법으로 길상문을 넣고 통 부분에는 박쥐 모양의 색지를 오려 붙였다. <참고문헌> 민족문화대백과사전(정신문화연구원‚ 2002) <사진자료> 망건통 사진자료(종이공예문화(임영주‚ 상기호)‚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