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지장농

추천0 조회수 22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지장농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버들이나 싸리 채 따위로 함처럼 만들어 종이로 바른 그릇 <개설> 앞판과 문짝등에 화초 문양등의 전지 장식이 들어가 있는 나무상자로 의류 및 기타 기물(器物)을 보관하는데 사용된다. <역사> 농은 비(扮)·협(練)·광(堅) 등의 죽기(竹器)를 의미하였던 광주리에서 나온 말이다. 초기에는 뚜껑이 위에 있다가 점점 상자 앞면에 문을 달아 옷을 넣는 데 편리하게 하여 사용하다가 이를 포개어서 옷장으로 썼던 것 같다. 서유구(徐有梏)의 [임원경제지] 섬용지(贍用志) 권3에 “농은 원래 죽기를 의미하였던 것인데‚ 나무나 고리버들로써 만든 것을 농이라고 불렀다.” 라고 농의 시원을 알려주고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원래 농에는 개판(蓋板 : 맨 위에 댄 나무판)이 없는 것이 장(欌)과 다른 점이지만‚ 후에는 농에도 개판 혹은 다리부분인 마대(馬臺)를 붙여 이를 ‘개판농’ 혹은 `마대농`이라고 불렀다. 또한 서민주택에서는 상자의 안팎에 종이를 바른 함롱(函籠)을 사용하였는데‚ 바닥에 놓고 썼기 때문에 그와같이 불려졌다. 구조는 널과 널로 접합된 것이 대부분이며‚ 그 짜임새는 한쪽 널에 촉을 만들고 다른쪽 널에 구멍을 뚫어 맞추는 촉짜임을 썼으며‚ 모서리는 각 이음새마다 고춧잎모양 혹은 기타 감잡이(양쪽으로 걸쳐 박는 쇳조각) 주석장식을 달아 견고하게 하였다. 또 문판 아래와 양쪽 널에 큰 달형 무쇠들쇠가 하나씩 달려 있는 것이 특징이다. 후기에는 장과 같이 앞면에 쇠시리장식을 하여 미름칸 및 쥐벽칸을 나누었고‚ 내부는 층으로 나누어져 있으나 외형은 한층으로 된 농도 만들어졌다. 농의 재료는 가볍고 좀이 안 스는 오동나무가 애용되었으며‚ 안방용인만큼 나뭇결이 아름다운 먹감나무·느티나무를 많이 사용하였다. 또한‚ 나전(螺鈿)이라든가 지롱(紙籠 : 초화문양을 그려 기름을 바른 것)·죽장롱(竹欌籠) 등도 애용되었다. 이 지장농은 앞판과 문짝에 화초 문양의 전지 장식이 있고 앞바탕은 무쇠로 만든 보상화형의 장식이다. <참고문헌> 한국의 목가구(박영규‚ 삼성출판사‚ 1982)‚ 한국의 목공예 상·하(이종석‚ 열화당‚ 1986).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