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추천0 조회수 34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머리털을 빗는 데에 쓰는 기구. <개설> 빗은 머리털을 가지런히 빗어 내리는 데 사용되었고. 머리카락에 기름을 바르는 데도 쓰였으며‚ 때와 비듬을 제거하는 데도 이용되었다. 또 뒷머리에 꽂아 장식을 하는 데도 쓰였다. <역사> 빗은 일찍이 낙랑유적에서 목재로 된 것이 발견되었고‚ 삼국시대 고분에서도 대모로 만든 것이 발견되었다. 통일신라시대의 것으로는 특이한 형태의 대모로 만든 장식빗이 전한다. 삼국시대나 고려시대에는 빗을 뒷머리에 꽂고 다니기도 하였기에 장신구의 일종으로도 사용된 것이다.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는 빗을 잃으면 정조를 포기한 것으로 간주하고 빗을 주는 행위는 허혼(許婚)을 의미하였기에 빗을 머리에 꽂는 관습은 사라졌다. 그러나 조선시대에도 빗에다가 주칠·화각(華角)·조각 등을 베풀어 예쁘게 세공하였으며‚ 부녀자의 애장품으로 귀하게 다루었다. 빗살은 대오리를 잘게 쪼개든가 나무·뿔붙이 등을 에어 내어 만드는데 요즈음에는 셀룰로이드나 금속으로도 만든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빗의 종류에는 얼레빗·참빗·면빗·음양소·상투빗·살쩍밀이 등이 있는데 이들은 각각 용도나 크기‚ 모양이 다르다. 옛날 여인들은 긴 머리채를 얼레빗으로 대강 빗은 다음 참빗으로 정성을 다하여 빗어 내렸고‚ 곱게 땋아 쪽을 진 다음에는 면빗으로 살쩍(뺨 위나 귀밑에 난 가늘고 고운 머리털)을 빗어 넘겨 조금도 흐트러짐이 없는 단정한 모습을 하였다. 각 빗의 용도와 형태는 다음과 같다. ① 얼레빗 : 빗살이 성긴 큰 빗으로 월소(月梳)라고도 하며 엉킨 머리를 대충 가지런히 할 때에 사용된다. 반월형 또는 각형의 등마루에 빗살이 한쪽에만 성글게 나 있는 형태이다. 오늘날에도 짧게 깎은 머리나 퍼머넌트한 머리를 가볍게 빗어 넘기는 데에 사용되고 있다. ② 참빗 : 빗살이 아주 가늘고 촘촘한 대빗으로 진소(眞梳)라고도 한다. 머리를 정갈하게 다듬는 데 사용하며 크기에 따라 대소·중소·어중소·밀소로 구분한다. 이 중에서도 중소가 가장 많이 쓰였는데 머리형태의 변화와 더불어 요즈음에는 일상생활에서 거의 찾아볼 수 없는 실정이 되었다. ③ 면빗 : 살쩍을 빗어 넘기는 데 쓰이는 작은 빗으로 면소(面梳)라고도 한다. ④ 음양소 : 빗살이 한쪽은 성기고 한쪽은 빽빽한 빗으로 다용도로 쓸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형태의 빗은 근래에도 볼 수 있는데 주로 남자들이 머리 정리에 사용하고 있다. ⑤ 상투빗 : 상투를 틀 때 머리털을 정리하던 조그마한 얼레빗 모양의 것이다. ⑥ 살쩍밀이 : 망건(網巾)을 쓸 때에 빠져 나온 살쩍을 망건 밑으로 밀어 넣는 데 사용하는 것으로‚ 대나 뿔로 얇고 갸름하게 만들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단정한 차림을 중시하여 매일 아침의 첫 일과는 빗질로 시작되었으며‚ 머리카락 한 올이라도 흐트러짐이 없도록 하였다. 그리고 건강수단으로 하루에 50∼100회의 빗질이 권장되기도 하였다. 상중(喪中)에는 빗질과 세발을 하지 않았다. 또 빗은 대부분 경대에 담아두고 사용하였는데 따로 빗접을 만들어 이에 보관하기도 하였다. 외출 시에는 아주 작게 만들어 휴대하였다. <참고문헌> 한국복식사연구(류희경‚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80)‚ 한국화장문화사(전완길‚ 열화당‚ 1987). <사진자료> 빗 사진(조선여인의 삶과 문화(서울역사발물관)‚ 102쪽)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