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서수

추천0 조회수 94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서수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3-25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원시문양 설명]경복궁 석조 장식물로 두 마리의 사자가 연꽃 위에 앉아 있는 형태로 조각되어 있다. 사자(?子)의 원래 명칭은 ‘산예’로 예로부터 고상하고 용기 있고 싸움 또한 잘하여 사람들로부터 백수의 왕으로 불려왔다. 고대 이집트 사람들은 사자를 신의 불가사의한 힘과 왕의 위엄을 상징하는 동물로 생각했으며‚ 아시리아나 그리스 사람들을 여신 옆에 반드시 사자를 그려 넣기도 하였다. 특히 불교에서 불법을 지키는 수호신으로 여겨져 이로 인해 사자는 ‘불도(佛道)의 개’라고도 불린다. 사자는 지혜의 상징인 문수보살(文殊菩薩)을 모시는 상징물로 표현되곤 했다. 나아가 부처나 용맹 정진하여 도를 닦는 사람들을 사자에 비유하기도 한다. 한편 민간에서는 나쁜 질병이나 잡귀를 내쫓는 벽사의 상징으로 사용되었는데‚ 중국의 사자 탈춤놀이나 우리나라 함경남도 북청군의 사자놀이가 대표적이 예이다. 연꽃은 옛날부터 생명의 창조‚ 번영의 상징으로 애호되었는데 그 이유는 연꽃의 강한 생명력 때문이다. 실제로 천년 이상 땅에 묻혀 있던 연 씨앗을 근래에 발아시킨 예가 있을 정도이다. 『본초강목(本草綱目)』의 “연꽃은 생명력이 강하여 가히 영구적이다. 연밥은 생명의 기운을 지니고 있으며 뿌리에서 트는 싹은 끊임없이 자라나 그 조화가 쉬지 않는다.”라는 말과 일치한다. 불교에서는 연꽃을 청결‚ 순결의 상징물로 여겼는데 그것은 늪이나 연못에서 자라지만 더러운 연못에 물들지 않는 속성에 기인하고 있다. 연꽃의 이런 속성을 불교의 교리와 연결시켜 초탈(超脫)‚ 보리(菩提)‚ 정화(?化) 등 관념의 상징으로 간주하였다. 또 연꽃은 환생을 상징한다. 우리 판소리 심청가에서도 심청은 인당수에 빠졌다가 큰 연꽃 속에서 환생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연꽃은 물과 태양의 필연적인 관계를 보여준다. 연꽃과 태양신을 연관시키고 있는 것은‚ 태양이 동쪽에서 뜨면 동시에 연꽃잎도 피고‚ 서쪽으로 지면 동시에 잎도 오므라드는 것에서 착상한 것으로‚ 이것은 태양이 떠오르는 것과 같이 연꽃이 재생(再生)함을 상징한다. 또 씨앗 과(顆)는 품수 과(科)와 같은 뜻으로 보고 연꽃 연(蓮)은 이을 연(連) 즉 거듭됨을 뜻하여‚ ‘과거(科擧)에 거듭 급제할 것’을 기원하는 의미로 보기도 한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s://www.kcisa.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