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청화백자십장생타구

추천0 조회수 52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청화백자십장생타구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3-25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원시문양 설명]이것은 청화백자 타구이다. 타구는 가래나 침을 뱉는 그릇으로‚ 타호(唾壺)‚ 타담호(唾痰壺)라고도 하며‚ 일반적으로 사기나 놋쇠로 만들어 사용하였다. 대개 윗부분은 직경이 넓고 경사지게 되어 있으며 허리는 잘록하여 잡기 쉽게 하였고‚ 가래나 침이 담기는 곳은 바닥을 평평하게 하여 안정감 있게 만들었다. 허리가 덜 잘록한 타구 중에는 음식을 먹을 때 뼈를 발리거나 돌을 씹었을 때 사용하던 `뼈 발리기`로 사용된 것도 있었다. 조선의 민가에서는 방안에 요강과 함께 받침에 얹어서 방안 한쪽 구석에 놓아두었다고 한다. 겉면의 아래쪽에 풀밭의 사슴과 매화나무‚ 그리고 영지버섯이 청색 안료로 그려졌다. 사슴은 미려한 외형과 온순한 성격을 가진 동물로 예로부터 신령스러운 동물로 인식되어 왔다. 사슴은 무리를 지어 살기 때문에 자리를 옮길 때마다 머리를 높이 들어 뒤에 낙오자가 없는지 살피는 속성을 지니고 있다고 하는데 이에 연유하여 우애의 상징으로 간주되었다. 또 사슴은 불멸의 신성한 순간을 포착해낼 수 있는 유일한 동물로 여겨왔다. 종종 관리들의 벼슬(祿)을 상징하는데‚ 사슴 녹(鹿)자와 벼슬 (祿)자는 같은 음이기 때문이다. 또한 불행과 질병을 막아주는 주술적인 힘을 가진 동물로 여겨져 왔다. 때문에 민간신앙 및 도교에서 불로장생을 상징하는 열 가지의 사물인 십장생에도 속한다. 사슴을 한 마리만 그릴 때는 보통 흰사슴을 그려놓고 읽을 때는 독음대로 ‘백록도(白鹿圖)’라고 한다. 비록 한 마리의 사슴이 그려졌을 뿐이지만 백마리의 사슴을 그린 ‘백록도(百鹿圖)’‚ 여러 마리의 사슴을 그린 ‘군록도(群鹿圖)’와 같은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다. 사슴도 학처럼 흔히 신선들이 타고 다니는 영물로 나타난다. 뿔이 봄에 돋아 자라서 굳어 떨어지고 다시 봄에 돋아나기를 거듭하므로 장수와 재생‚ 영생을 상징하여‚ 베갯모나 주머니 등에 무늬로 수놓아졌다. 영지버섯은 일 년에 세 번 꽃이 피기 때문에 삼수(三秀)라 부르기도 한다. 옛사람들은 영지버섯을 서초(瑞草: 상서로운 풀) 또는 선초(仙草: 신선의 풀)라 부르기도 하였다. 사람들은 이것을 먹으면 기사회생하고 불로장생(不老長生)한다고 믿었는데‚ 이런 관념은 『사기(史記)』 「진시황본기(秦?皇本紀)」 중 바다 가운데 삼신산에 있다는 불로초에 대한 관념과 관련이 깊다. 영지버섯은 그 모양이 여의(?意)를 닮았다고 하여 길상(吉祥)의 상징물로 널리 인식되었다. 매화는 고결한 선비나 정절의 여인을 상징한다. 이른 봄에 홀로 피어 봄의 소식을 전하고 맑은 향기와 우아한 운취가 있어 순결과 절개의 상징으로 널리 애호되었다. 매화의 다른 이름인 보춘화(報春花)는 겨울이 끝나고 봄이 문턱에 올 즈음에 핀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봄·겨울 홀로 핀 늙은 매화의 고고한 자태를 표현한 그림은 군자의 지조와 절개로 비유되고 있다. 또 겨울이 되어 잎이 지고 나면 죽은 것처럼 보이나 다음 해 다시 꽃이 피는 속성을 지니고 있어 장수의 상징물로도 여겼다.개별문양매화나무문‚영지버섯문사슴문매화나무문‚영지버섯문사슴문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s://www.kcisa.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