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청자상감석류문대접

추천0 조회수 50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청자상감석류문대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3-25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원시문양 설명]청자는 11세기 말에서 12세기 사이에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고려청자에 본격적으로 문양이 나타나기 시작한 때는 11세기경에 이르러서이다. 문양의 종류는 중국에서 전래된 국화덩굴문과 연판문 등을 고려적인 모습으로 변화시킨 것으로 음양각기법이 이용되었다. 12세기에 접어들면서 비색(翡色) 청자의 완성과 함께 다양한 문양이 다채롭게 청자를 장식한다. 또 고려청자의 장식 기법 가운데 가장 독창적인 것이 상감기법인데‚ 이 기법은 조각칼로 나타내고자 하는 무늬를 음각한 후 그 홈에 붉은 흙이나 흰 흙을 감입한 것으로 문양의 표현이 사실적인 것도 있지만 도안적인 성격이 강하다. 고려 중기 이후 청자의 중요한 장르로 등장한 상감청자에는 예전에 볼 수 없는 새로운 문양들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대표적인 문양으로는 연덩굴문‚ 국덩굴문‚ 국화문이나 모란문‚ 역상감의 보상덩굴문‚ 포도동자문 등이 많이 보인다. 이것은 상감청자 대접으로 외면에는 아무런 문양 없이 단순하게 처리하였으며‚ 내면에는 여러 가지 문양을 넣어 장식하였다. 대접의 내면의 구연부 아래로 세 줄의 백상감선문대를 돌렸다. 바닥에는 두 줄의 백상감서문대를 돌렸다. 내측면에는 3개의 석류문을 백상감하여 같은 간격으로 배치하였다. 석류는 붉은 주머니 속에 빛나는 씨앗들이 빈틈없이 들어 있어 다손(太孫)과 다남(太男)을 상징하였다. 그 맛이 시어서 임산부들의 구미를 돋우었기에 아들 생산이라는 상징성을 지니게 된 것이다. 또 석류의 모양이 보석을 간직한 보석주머니같아서 사금대(沙金袋: 사금주머니)라는 별명까지 겸하여 부귀다남(富貴太男)의 뜻을 지녀 혼례복을 비롯하여 혼수‚ 침구‚ 가구 장식‚ 도자기 등에 많이 쓰여져 왔다.개별문양석류문석류문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s://www.kcisa.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