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청자상감모란절지문합

추천0 조회수 72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청자상감모란절지문합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3-25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원시문양 설명]이것은 상감기법이 사용된 고려시대 청자 합이다. 상감청자란 빚어낸 그릇의 표면에 문양을 예리한 칼로 음각한 후에 흰 흙이나 붉은 흙을 음각 문양 속에 메워 넣은 뒤‚ 청자 유약을 입혀서 구워낸 것을 말한다. 이 때 메워진 흰 흙은 흰색으로‚ 붉은 흙은 검은색으로 나타난다. 고려 중기 이후 청자의 중요한 장르로 등장한 상감청자에는 예전에 볼 수 없는 새로운 문양들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대표적인 문양으로는 연덩굴문‚ 국덩굴문‚ 국화문이나 모란문‚ 역상감의 보상덩굴문‚ 포도동자문 등이 많이 보인다. 이 청자 합의 뚜껑에는 꽃송이와 줄기 그리고 잎사귀가 함께 나타나는 모란문이 상감되었는데 꽃송이는 백상감으로 줄기와 잎사귀는 흑상감으로 장식하였다. 나머지 여백에는 모두 모란덩굴문을 음각하여 채웠다. 모란은 화려한 자태로 인하여 꽃 중의 왕으로 일컬어지며‚ 화목·부귀영화·번영을 상징한다. 송나라 유학자 주돈이는 「애련설(愛蓮說)」에서 “모란은 꽃 가운데 부귀한 자이다”고 하여 모란이 부귀를 상징함을 찬한 바 있다. 또한 모란이 주제로 등장하는 그림들 가운데 부귀장춘(富貴長春)은 오래도록 부귀영화를 누리기를 축원하는 도안이며‚ 장명부귀(長命富貴) 역시 생일을 축하하면서 장수와 부귀를 누리기를 기원하는 도안이다. 또한 모란과 수탉이 주제로 등장하는 공명부귀(功名富貴)는 벼슬길에 나아가 이름을 날리고 부귀를 누리기를 축원하는 의미가 담겨 있다. 고려시대 청자에서 간결하게 도안된 모란무늬가 쓰이기 시작하여‚ 조선시대 분청사기를 비롯하여 청화백자·진사백자·철화백자 등에서 민화풍의 회화적인 필치로 그린 모란무늬가 다양하게 나타난다. 덩굴은 한자표기로 당초(唐草)라 하는데‚ 곧 당나라풍의 덩굴무늬를 가리킨다. 덩굴문은 고대 이집트에서 발생하여 그리스에서 완성되었으며 북아프리카‚ 시리아‚ 메소포타미아‚ 서아시아‚ 페르시아 등의 제국과 인도‚ 중국‚ 한국‚ 일본 등 광범위한 지역에서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당초라고 하는 용어는 원래 겨우살이덩굴(인동초)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인동초(忍冬草)는 한국을 비롯한 중국 등지의 산악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겨우살이 덩굴식물이다. 이 덩굴은 겨울을 견뎌낼 뿐만 아니라 덩굴을 이루면서 끊임없이 뻗어나가기 때문에 장수와 대(代)를 이음을 상징하게 되었다. 덩굴문은 단독으로 쓰이는 것보다 다른 무늬와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통일신라시대 이래 서역에서 들어온 포도무늬‚ 석류무늬‚ 연꽃무늬‚ 보상화무늬 등과 결합하여 포도덩굴문‚ 석류덩굴문‚ 연덩굴문‚ 보상덩굴문 등으로 특색있게 나타난다. 여기에서는 모란의 줄기와 잎사귀가 변형되어 덩굴무늬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개별문양모란문모란문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s://www.kcisa.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