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청자음각국화절지문화형탁잔

추천0 조회수 61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청자음각국화절지문화형탁잔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3-25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원시문양 설명]탁잔은 높은 굽으로 된 잔대‚ 잔을 바치는 전‚ 그리고 맨 위의 잔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탁잔은 꽃모양의 잔과‚ 역시 꽃모양으로 된 전이 있다. 잔의 바깥 면에는 덩굴‚ 모란‚ 국화무늬가 새겨져 있고‚ 잔 바닥에는 국화가 새겨져 있다. 고려청자 최전성기인 12세기 전반기를 대표하는 작품이며 전라남도 강진군 대구면 사당리 청자 가마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 인종(仁宗 재위 1123-1146)의 장릉(長陵)에서 황통육년명(皇統六年銘) 시책(諡冊‚ 시호를 내려주는 문서)과 함께 출토된 유물들 가운데 하나라고 전해진다. 연꽃은 꽃뿐만 아니라 열매‚ 씨앗‚ 잎사귀 등이 모두 무늬로서 표현되고 있다. 연꽃은 옛날부터 생명의 창조‚ 번영의 상징으로 사랑 받았는데 이는 꽃의 강한 생명력 때문이다. 불교에서는 연꽃을 청결과 순결의 상징물로 여겼는데 그것은 늪이나 연못에서 자라지만 더러움에 물들지 않는 속성 때문이다. 일반적인 생활도구 속에서 연꽃은 자손을 많이 얻거나‚ 생명의 창조와 생식 번영의 상징으로도 여겨졌다. 국화는 사군자의 하나로 높은 기개와 고매한 인격을 상징하는 꽃이다. 또한 늦은 서리를 견디면서도 그 모습을 잃지 않아 길상의 징도 또는 상서로움으로 받아들여졌다. 장수를 상징하기도 하는 꽃이다.개별문양꽃문꽃문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s://www.kcisa.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