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국덩굴문(76265)

추천0 조회수 18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국덩굴문(76265)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3-25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문양설명국화와 덩굴을 함께 표현한 무늬이다. 국화는 동양의 관상식물 중 가장 역사가 오래되었다. 국화는 늦은 서리를 견딘다고 하여 고고한 기품과 높은 절개를 상징하였다. 특히 도연명(陶?明)이 국화를 예찬하면서부터 군자와 불가분의 관계가 되었으며‚ 의(義)를 지켜 꺾이지 않는 선비정신과 일치하는 것으로 여겼기 때문에 은일화(隱逸花)로 불리며 속세를 떠나 숨어사는 은자(隱者)에 비유되었다. 우리나라에서 국화는 삼국시대 이래 재배되기 시작하면서 다양한 형태의 문양으로 활용되었는데‚ 통일신라시대의 골호(骨壺)와 고려시대의 청자‚ 나전칠기‚ 금속공예품 등에도 표현하였다. 조선시대에는 매화‚ 난초‚ 대나무와 함께 사군자의 하나로 고고한 기품과 절개를 지키는 군자에 비유되어 애용되었다. 덩굴문의 경우 단독으로 사용하기보다는 덩굴이 꽃이나 꽃잎과 얽혀져 서로 자연스럽게 연결되거나 다른 무늬를 연결하는 보조문양으로 사용하였다. 덩굴문은 고대 이집트에서 발생하여 그리스에서 완성되었으며 북아프리카‚ 시리아‚ 메소포타미아‚ 서아시아‚ 페르시아 등의 제국과 인도‚ 중국‚ 한국‚ 일본 등 광범위한 지역에서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덩굴은 겨울을 견뎌낼 뿐만 아니라 덩굴을 이루면서 끊임없이 뻗어나가기 때문에 장수를 상징하였다. 도자기‚ 회화 등에 장식문양으로 사용하여 나타내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s://www.kcisa.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