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양사언 초서 (楊士彦 草書)_양사언 초서

추천0 조회수 386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양사언 초서 (楊士彦 草書)_양사언 초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5-29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양사언 초서에 대한 설명입니다.16세기 문신·시조작가·초서명필로 유명한 봉래(蓬萊) 양사언(楊士彦‚ 1517~1584)의 필적으로 당나라 저광의(儲光羲)의 오언시 「낙양도(?陽道)」 5수 가운데 제1수를 쓴 것이다. 원래 첩이었던 것을 근대에 축으로 개장하였다. 양사언은 고산(孤山) 황기로(黃耆老‚ 1521~1576 )와 더불어 조선을 대표하는 초서 명필로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금강산과 같은 선경(仙境)을 좋아하고 세속에 얽매이기를 싫어했듯이 글씨에서도 당나라 장욱(張旭)과 회소(懷素)의 방일(放逸)한 초서를 매우 애호하였다. 현재까지 알려진 양사언의 필적으로 봉래유묵(蓬萊遺墨‚ 제1539호)(연세대 중앙도서관)은 국한문을 섞어 쓴 자작시문 원고로 문학연구 자료로 귀중하다. 또『근묵(槿墨)』(성균관대박물관)에 실린 시고(詩稿) 등 몇몇 소품이 전한다. 이에 비해 이 오언시 필적은 둥근 원필세(圓筆勢)의 빠르고 거침없는 대자초서(?字草書)로 자유분방하고 도가적 기풍의 예술세계를 가졌던 양사언의 성품과 그가 지향한 초서의 경지를 잘 보여준다. 초성(草聖)이라 불렸던 그의 진면목을 잘 보여주는 명작으로 평가되며‚ 더욱이 뒤쪽에 조선후기 명필 이광사(李匡師‚ 1705~1777)의 1749년 발문(3건)과 조명교(曹命敎‚1687~1753)의 발문이 딸려 있어 그 가치를 더욱 높여준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cha.go.kr/cha/idx/Index.do?mn=NS_01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