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이리농악 (裡里農樂)_이리농악의설장고

추천0 조회수 112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이리농악 (裡里農樂)_이리농악의설장고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5-29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이리농악에 대한 설명입니다.이리농악은 익산(옛 이리)지방에서 전승되는 농악으로 호남우도농악에 속한다. 익산시 새실마을은 예로부터 마을농악이 왕성했고‚ 김제·정읍 등지에서 전문적인 농악을 배워온 사람들을 받아들여 오늘과 같은 높은 수준의 농악단을 배출할 수 있었다.
이리농악은 용기‚ 농기‚ 쇄납‚ 나팔‚ 사물(쇠4‚ 징2‚ 북2‚ 장고4)‚ 법고(불교의식에서 쓰는 작은 북)‚ 잡색(양반‚ 대포수‚ 조리중‚ 창부‚ 각시‚ 무동)으로 편성된다. 농악수들은 치배 또는 군총이라고도 하는데 흰 바지 저고리에 색동달린 반소매의 검은색 쇠옷이나 조끼를 입고 삼색띠를 두르며 머리에는 상모와 고깔을 쓴다. 쇠가락에는 일체‚ 이채‚ 삼채‚ 외마치질굿‚ 풍류굿‚ 오채질굿‚ 좌질굿‚ 양산도가락‚ 호호굿‚ 오방진가락 등이 있다. 판굿의 절차는 인사굿‚ 오체질굿(오른쪽으로 돈다 하여 우질굿)‚ 좌질굿‚ 풍류굿‚ 양산도‚ 긴매도지(미지기 : 쇠와 장구가 마주보고 전진후퇴)‚ 삼방진굿‚ 방울진굿‚ 호호굿‚ 달라치기‚ 짧은매도지‚ 짝드름‚ 일광놀이‚ 구정놀이(개인놀이)‚ 기(旗)쓸기 순서이다.
상쇠의 부포놀이가 매우 다양하고 장구의 가락과 춤이 발달되어 있으며‚ 소고춤의 기법이나 진풀이가 많은 편이다. 비교적 느린 가락을 자주 쓰며‚ 가락 하나하나가 치밀하게 변형 연주되어 리듬이 다채롭다. 풍류굿‚ 덩덕궁이(삼채굿)에서는 악절마다 맺고 푸는 리듬기법을 쓰는 등 가락의 기교가 뛰어나다.
이리농악은 마을사회의 역사와 그 명맥을 함께 하는 민속예술로 농사의 고달픔을 잊고 서로의 화합과 마을의 단합을 도모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cha.go.kr/cha/idx/Index.do?mn=NS_01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