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녕술정리하씨초가 (昌寧 述亭里 河氏 草家)_부엌천장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 저작물명
- 창녕술정리하씨초가 (昌寧 述亭里 河氏 草家)_부엌천장
- 저작(권)자
-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5 건)
- 출처
-
- 이용조건
-
- 공표년도
-
- 창작년도
- 2015-05-29
- 분류(장르)
- 사진
UCI 로고
- 요약정보
-
창녕술정리하씨초가에 대한 설명입니다.창녕 지방에 있는 옛집으로 안채·사랑채·대문간채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안채만 지정되어 있다. 안채는 현소유자 하경목 씨의 18대 조상이 이 마을에 들어와 세종 7년(1425)에 지은 건물이라고 전한다. 그러나 ‘건륭 25년’<영조 36년(1760)>이라는 기록이 발견되어 이 때에 다시 지었거나 수리를 한 것으로 보인다.
남향한 안채는 중부 이남지방에서 일반적인 앞면 4칸·옆면 1칸의 '一'자형 홑집으로‚ 왼쪽부터 작은방·대청·큰방·부엌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처마는 이 집의 가장 대표적인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 기둥의 높이에 가까울 정도로 깊다. 이는 일조량과 강우량을 고려한 남부지방 가옥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으며‚ 살림집 연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지붕은 억새풀을 엮어서 얹은 초가로 수명이 길 뿐만 아니라 예스러움을 느끼게 한다.
대청은 통나무를 윗부분만 편평히 깎아 깔았는데 매우 오래된 것이다. 또한 목재는 못을 쓰지 않고 구멍을 뚫어 연결하였으며‚ 천장은 흙을 깔지 않은 상태로 구성하여 가볍게 한 점 등이 내부의 특징이다.
앞마당에는 작은 텃밭을 가꾸었고 부엌 앞쪽에는 장독대가 있으며‚ 안채 뒤로는 꽃계단을 꾸며 몇그루의 오래된 나무들이 어울러 숲을 이루고 있다.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약간의 변형이 있었지만 일반가옥 연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술정리란 창녕현감 한강 정구가 지은 정자를 '술정(述亭)'이라 한데에서 지어진 마을 이름으로 지정 당시에는 '창녕하병수씨가옥(昌寧河丙?氏家屋)'이었으나‚ 마을이름(술정리)‚ 거주한 내력(하씨)‚ 가옥의 형태(초가) 등을 나타내는 ‘창녕 술정리 하씨 초가’로 명칭을 변경(2007.1.29)하였다.
※ 위 문화재는 일반적으로 관람이 가능하나‚ 소유주 등의 개인적 사정으로 관람이 제한될 수도 있습니다.
- 저작물 파일 유형
-
- 저작물 속성
-
1
차 저작물
- 공동저작자
-
1유형
- 수집연계 URL
-
http://www.cha.go.kr/cha/idx/Index.do?mn=NS_01
- 분류(장르)
-
사진
- 원문제공
-
원문URL
저작물 정보 레이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