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명고영정 (鳴皐影幀)_명고영정

추천0 조회수 62 다운로드 수 3 일반문의

문의하기

※ 문의내용은 담당자 검토 후에 답변 드립니다.
 답변 내용은 마이페이지 > 문의하기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필수입력
분류
이미지
저작물명
명고영정 (鳴皐影幀)_명고영정
필수입력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명고영정 (鳴皐影幀)_명고영정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1유형 출처표시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5-29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명고영정에 대한 설명입니다.조선 후기의 문신인 정간(1692∼1757) 선생의 초상화이다.
정간은 영조 1년(1725)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벼슬을 거치는 동안 청백리로 선정되기도 한 인물로‚ 학문에 능했으며 국론을 바로잡기 위해 노력하였다. 일본인들까지 그를 칭송하는 송덕비를 세울 만큼 어진 다스림을 베풀었다고 한다.
초상화는 선생이 직무를 볼 때 입었던 관복을 단정하게 차려 입고 호랑이 가죽을 덮은 의자에 앉아있는 모습을 그린 전신상이다. 조선 후기의 일반적인 초상화 형식으로‚ 대부분의 초상화가 약간 오른쪽을 바라보고 있는데 비해 이 그림은 정면을 향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발 받침대에는 두 발 사이로 호랑이의 코모양이 드러나 있다.
정면을 향하고 있는 모습이나 높은 사모를 머리에 쓰고 있는 점‚ 모아 잡은 두 손 밑으로 불거져 나온 소매 끝이 좁고 긴 것 등으로 보아 18세기 초에 그린 것임을 짐작하게 하며‚ 전체적인 표현형식이 숙종 영조 대의 양식으로 보인다.
선생이 선천부사로 있을 때 어진 다스림을 베풀어 그곳의 백성들이 그린 것이라는 얘기도 함께 전해온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cha.go.kr/cha/idx/Index.do?mn=NS_01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