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박하륜

추천0 조회수 145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박하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박하륜 호 : 여경/모암 활동시기 : 조선시대 출생시기 : 1748년(영조 24년) 상세설명 효자 박하륜은 1748년(영조 24년) 9월 29일 함양인 진구의 둘째 아들로 춘산면 옥정동 서재 마을서 태어났다. 자는 여경(汝敬)‚ 호는 모암(慕巖)이다. 그는 어려서부터 효성이 극진하였다. 여섯 살 나던 해 중양절 산놀이때 동네 아이들은 서로 음식을 다퉈 먹었으나 그만은 입에 대지 않은 채 양 옷자락에 싸들고 와 한쪽 옷자락 것만 아버지에게 드리니 이웃 어른들이 "나머지 옷자락 음식은 왜 남기느냐"고 묻자 "집에 계시는 어머니에게 갖다 드리려 해요"하여 회귤고사(懷橘故事)에 못지 않은 갸륵한 효행이라 탄복케 하고 근동에까지 그 사실이 소문 났었다. 책을 읽을 나이인 여덟 살이 되자 소학 명륜편에 있는 '자식으로 어버이를 섬기는 대목'을 늘 외워 몸소 행하며 자라왔고 평소 혼정신성은 물론 성동에 이르러선 어버이 사랑함이 돈독해 자기 아플 때를 제외하곤 부모님 침소를 항상 자신이 손수 깨끗이 해드리며 정성껏 모시는 일을 하루도 거른 적이 없었다 한다. 21세 때 성품이 어질고 총명하며 효심이 지극한 진성 이씨와 혼인한 뒤 어른들이 분가를 바랐지만 "옛 어른들은 한 집안에 9대까지 동거했다."며 비좁은 집에서 4형제와 같이 아무런 불평없이 화목하게 지내며 어버이를 극진히 받들어 모셨다. 한 번은 말을 타고 가다 낙마한 뒤 "몸을 다침은 부모로부터 받은 몸을 상하게 하는 일이라"하여 다시는 말타기를 삼가했다고 전해 오며 또 종가댁에서 상을 당했을 적엔 그 집 백씨와 3년 시묘를 살며 집에 돌아오지 않았을 정도고 그 뒤 오래도록 집에서 20여리 떨이진 종가 산소에 눈비를 무릅쓰고 오가며 초하루 보름에는 꼭 성묘를 게을리 하지 않았다. 33세 때 부친 위독시는 형제 노복과 함께 밤낮 정성스레 약을 달여 드리며 깊은 밤중엔 홀로 목욕재계하고 치성드리기도 하고 상을 당하매 물과 장을 입에 안 댄채 몹시 슬퍼하며 스스로 흙져다 봉분 쌓는 것을 도왔으며 너무 상심한 나머지 식음을 전폐하고 슬퍼하므로 산소 부근 주민들이 음식을 만들어 갖다주며 먹도록 권하기도 했다. 3년 시묘 살면서도 성묘 뒤 늘 묘소 옆 바위에 기대 쉬며 아버지 생각에 깊이 잠기는 일이 잦아 주민들이 그 바위를 '사모암'이라 불렀고 공의 호도 그런 연유에서 비롯되었다. 40세가 되던 해 6월 28일 밤 갑자기 집에서 우연히 불이 나 그는 사랑채서 잠자다 엉겁결에 깨어 뛰어 나와 보니 70 노모께서 화염이 치솟는 윗채에 갇혀 못나옴을 알고 동생과 함께 "어머니 어머니"하며 목이 터져라 울부짖었으나 묵묵 부답일 뿐이었다. 그는 "아이고‚ 아이고 하느님"하고 가슴을 치며 주위 사람들의 만류를 뿌리치고 어머니를 구하러 불길 속으로 뛰어 들자 바깥문서 급히 달려온 부인 역시 품안의 아기를 마당에 내려놓곤 수하의 도와주는이가 매달려 울면서 치마를 당기며 못들어 가게 말리는 걸 뿌리치다 치맛자락이 찢겼으나 그대로 불길 속으로 뛰어드니 불끄러 온 이웃 사람들이 이 딱한 장면을 보다 못해 "하느님 하느님 효자‚ 효부를 앗아 가나이까?"하고 발을 동동 구르고 통곡하지 않을 수 없었다. 집이 다 타버린 뒤 아들이 어머니를 업고 부인은 남편을 안은 채 셋이 까맣게 탄 한 덩어리의 숯같이 변하니 그 처절한 정경이야말로 저 개자추(介子推)의 경우와 다를 바가 없었다. 공이 간지 42년만에 이 장한 효열 사실을 향민들이 본관과 감사 및 수의어사에게 알려 수의 조연춘의 단계로 예조참판 홍영관이 초기‚ 1830년(순조 30년)에 정려‚ 나라에서 효열각을 서재 마을 입구 한길가에 세웠고 이병운의 기문이 전하여 온다. 유택은 이웃 군위군 고로면 낙전동 갈선곡에 합장되어 이는데 현손 대환이 묘역에 효열비를 세웠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gb.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